중국은 2017년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 발표를 통해 2030년까지 이론, 기술, 응용 등 인공지능의 전 분야에 걸쳐 세계 선두로 도약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2018년 인공지능 실험교재(교과서)를 개발하여 유치원부터 초·중·고, 직업교육에 이르기까지 생애 전 주기에 걸친 보편적 인공지능 교육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2001년 코딩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초·중·고 정보기술 교육을 의무화한 이후 신기술 인재를 대규모로 양성하는 데 성공하였다. 따라서 인공지능 교과서 개발은 중국의 신기술 인재양성 전략이 정보기술 교육을 넘어 새로운 차원으로 도약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증거라고 말할 수 있다. 이같은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초·중·고 인공지능 교육분야를 중심으로 인재양성 정책과 추진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중국의 기술굴기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여기서는 중국의 신기술 인재양성에 있어서 중앙정부, 시·성 지방정부, 초·중·고 학교 현장에서 정보기술 교육과 인공지능 교육 등을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한국적 대안을 찾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제2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중국의 인공지능 인재양성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들을 검토하였다. 4차 산업혁명은 전면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교육 방법에 대한 총체적인 개혁을 요청하고 있다. 이에 중국에서는 단순한 지식의 암기에서 벗어나 ‘만들기 체험학습’(learning-by-making)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교육방법의 전환을 추진해왔다. 여기서는 이에 대해서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중국의 신기술 인재의 개념과 신기술의 범위 등에 대해서 제시하고, 중국의 신기술 인공지능 인재양성의 3대 주체인 중앙정부, 성급 지방정부, 학교 현장 등 3층위 사이의 역할 분담 방식에 대해 제시하였다.…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3. 연구 범위와 한계
제2장 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중국의 신기술 인재양성 관련 논의
1. 4차 산업혁명의 개념
2. 중국의 신기술 인재의 개념과 범위
3. 인공지능 신기술 인재양성 정책의 추진 체계
제3장 중국의 4차 산업혁명 신기술 인재양성 정책 분석
1. 중앙정부의 신기술 인재양성 정책 분석
2. 지방정부의 신기술 인재양성 정책 분석
3. 정책적 시사점
제4장 초·중·고 정보기술 교육 실태 분석
1. 중앙정부의 초·중·고 정보기술 교육 정책
2. 시·성별 초·중·고 정보기술 교육 현황 분석
3. 정책적 시사점
제5장 중국의 인공지능(AI) 개발 수준 및 AI 교과서 분석
1. 중국의 인공지능 개발 수준 현황
2. 중국의 인공지능 실험교재(교과서) 내용 분석
3. 정책적 시사점
제6장 정책 제언
1. 한국형 초·중·고 인공지능(AI) 교과서 편찬
2. 대학이나 대학원 이전 초·중·고 인공지능(AI) 인재양성
3. 재직 교사 재훈련과 더불어 인공지능 신규 교사 양성 추진
4. 소프트웨어 교육 시수와 실시 시기의 확대
5. 쉽고, 재미있고, 비용이 적게 드는 인공지능 교육 실시
6. 인공지능 인재양성을 위한 컨트롤 타워 구축 및 법률 제정
참고문헌
부 록
1. 2020 중국 시·성별 정보기술 교육 현황 조사지
2. 한국형 AI 커리큘럼을 적용한 교과서 기획(예시)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