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와 융합 제44권 8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휴타고지 시대의 고등교육 방안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본고의 목적은 차세대 고등교육 방법론으로 휴타고지를 설명하고 이를 반영한 교육 모델인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를 소개하고 이를 구현하는 데 있어 역사학 전공선택 과목으로 개설한 역사 데이터베이스의 Protégé(온톨로지 소프트웨어) 활용 강의에서 일어난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다. 휴타고지는 자기 결정적 학습으로 학습의 A-Z를 학습자가 일으키는 디지털 데이터 시대의 교육 사조다. 디지털데이터 내러티브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데이터 리터러시를 한 묶음에 내러티브(즉, 사고의 재구성으로)해서 배우고 가르치는 교육 모델을 일컫는다. 이런 면에서 내러티브 교육론은 자기 결정적 학습인 휴타고지의 실현이다. 이 모델로 구성한 한 학기 역사학 전공과목에서 학습자들은 디지털 데이터 리터러시의향상을 보였으며 공부에 대한 자발적인 동인이 발생하였고 학습에 대한 심경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Heutagogy and the educational model ‘digital data narrative’ that reflects it as a next-generation educational methodology and to examine students’ feedback in an elective course ‘History Database’ in history major where they used Protégé (ontology software). Heutagogy is an educational trend in which learners determine A-Z necessary to create their learning. Digital data narrative refers to an educational model with which students learn and teachers educate digital literacy and data literacy in a narrative fashion - the reconstruction of thinking. In this respect, narrative education theory is the realization of the self-determined learning, Heutagogy. In ‘History Database’ composed of this model, learners showed improvement in digital data literacy and spontaneous motivation for studying occurred.

1. 서론

2. 휴타고지와 디지털 데이터 사회

3.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4. 교육 사례;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 역사학’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