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매헌 권우의 생애와 신도시(新都詩)

The Life and Poetry of the New Capital of Maheon Kwon-Woo

  • 23
문화와 융합 제44권 8호.jpg

권우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이다. 그는 고려 말 학자 길재, 정몽주, 정도전의 학문을 계승하여, 조선 건국의 기틀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가 살았던 시대가 새로운 왕조의 기틀을 다지는과정에 있었기에, 특별히 눈에 띄는 분야가 관각문인으로서의 면모이다. 관각은 문장을 담당했던 중앙조직으로서, 그 곳에서 권우는 국정 운영과 관련된 문장을 오랫동안 담당했다. 이러한 경험적 특징은권우가 새로운 도읍지 한양의 풍경을 묘사하는 ‘신도시’를 쓴 것과 연관이 있다. 태조 이성계가 수도의그림을 담은 여덟 폭의 병풍을 내려주자, 이에 화답하는 팔경시를 지어, 수도의 왕성함과 아름다움을읊었다. 그 외에서도 새로운 왕조의 수도에 대해 읊은 작품이 있는데, 조선 초기 문학 동향을 가늠하게해주는 가치가 있다.

Kwon Woo was a Neo-Confucian scholar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y. He contributed greatly to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by succeeding the scholars Giljae, Mongju Jeong, and Jeong Do-jeon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re are many works that recite personal experiences, but the aspect that stands out in particular is his aspect as a Gwangak writer. Gwangak was the central organization that was in charge of sentences, and it was in charge of sentences related to state affairs for a long time. Thes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Kwon Woo’s writing of ‘Poetry of the new capital’, which describes the scenery of Hanyang, the new capital city. When King Taejo Lee Seong-gye laid down an eight-panel screen with pictures of the capital, he wrote an eightview poem in response to the dynamism and beauty of the capital. In addition, there are works that have been written about the capital of the new dynasty, and it is valuable to gauge the literary trend of the early Joseon Dynasty.

1. 서론

2. 가계와 생애 및 교유

3. 新都詩의 양상

4.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