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로맨스 웹소설 속 가상 역사의 구현 방식 연구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Virtual History in Korean Web Novels

  • 208
문화와 융합 제44권 8호.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고는 <해시의 신루>를 중심으로 로맨스 웹소설 속 가상 역사의 구현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문종과 현덕왕후의 관계를 모티프로 하여 남녀주인공의 애정서사를 그려낸 <해시의 신루>는 두문동 72현설화나 세종조 집현전 서운관 등 다양한 국가기관들의 업적을 폭넓게 수용하여 여러 중심사건을 형상화하였다. 그 과정에서 개입된 허구적 요소들은 남녀주인공의 계급차 로맨스를 형성하고, 적대세력의사정(私情)을 강조하고, 세자의 권력을 부각하는 방향으로 활용되었다. 이와 같은 역사와 허구의 결합과정에서 나타난 가상역사물로서의 특징으로는 첫째, 독자들의 빠른 몰입을 위하여 익숙한 주제를 반복하며, 역사의 재현보다 애정서사에 집중하는 로맨스 웹소설의 특성으로 인해 독자들이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현대의 문화관습을 적극적으로 차용하고 있었다는 점, 둘째, 역사적 인물을 등장시킬 때짧은 에피소드 형식을 취하여 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서사의 긴장을 이완시키는 동시에 작품에 대한집중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장치로 활용하고 있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d the realization of virtual history in romance web novels, focusing on <Midnight Mirage>. <Midnight Mirage> depicted the love story with King Munjong and Queen Hyeondeok as motifs. <Midnight Mirage> used the story of Tumun-dong 72 Loyalists and the achievements of various national institutions in King Sejong to create various central event. The fictional elements of the story were used to form a inter-class romance, emphasize the personal feelings of the opposing forces and highlight the power of the crown prince. The characteristics of a virtual histor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ctively borrowing modern cultural customs. Second, it takes the form of a short episode when a historical figure appears. These characteristics have epic effects such as inducing rapid immersion of readers and relaxing the tension of the narrative.

1. 들어가며

2. 역사적 상황과 허구적 요소의 결합 방식

3. 로맨스 웹소설 속 가상역사물의 특징

4. 나오며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