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만성 조현병 당사자 밴드가 경험한 커뮤니티 음악치료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Schizophrenic Band through Community Music Therapy

  • 464
문화와 융합 제44권 8호.jpg

본고의 목적은 만성 조현병 환자로 구성된 당사자 밴드가 커뮤니티 음악치료를 통해 경험한 내용과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2명의 음악인과 함께 이 밴드와 2021년 2월부터 2022년 4월까지 1년3개월 동안 5개의 자작곡을 만들어 전문 스튜디오에서 녹음하고 음원 유통사를 통해 앨범으로 발매한뒤 촬영팀과 라이브 영상을 촬영하여 발표했다. <광장프로젝트>라고 칭한 이 연구에서 참여자들이 느낀 경험의 상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과 밴드의 심리적 및 음악적 성장을 들 수 있다. 둘째, 정신장애인 음악가 밴드로서의 독특한 정체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창작 기여도 향상 및 사회적 편견을극복하는 밴드의 향후 활동 소망이 경험으로 제시됐다. 이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음악 참여의 기회가특히 적은 만성 조현병 당사자가 목소리를 내고 스스로 경험과 의미를 자각하는 기회가 되었던 성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커뮤니티 음악치료가 당사자들이 주체가 되는 활동으로서 강력한 방식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커뮤니티 음악치료의 후속 연구를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따른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the band consisting of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through community music therapy. The researcher and 2 musicians made five songs with this band for a year and three months from February 2021 to April 2022. During that period we recorded them in a professional studio, released an album through music platforms. Also filmed and released live videos. In this study, named ‘The Square Project’, the top topics of the experience felt by the participants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and musical growth of individuals and band are mentioned. Second, a unique identity as a band with mental disabilities was derived. Third, the band's wish for future activities to improve creative contribution and overcome social prejudice was experienc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community music therapy can be a powerful practice in which the marginalized people become the main participant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