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하고 복잡한 문제해결을 위해 논리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창의적 문제해결이 요구되는 지금, 본 연구는 전체최적의 해결책을 도출하는데 유용한 교육을 위한 TOC의 학습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논리적 사고와 문제해결에 유효하다는 것을 밝혔다. 그동안 암묵적으로 알려졌던 논리적 사고 향상과정을형상화하여 명시하였고, 교육을 위한 TOC가 논리의 흐름에 중점을 둔 문제해결 방법임을 확인함과 동시에, 자기효능감의 정도와 상관없이 논리적 사고만으로도 문제해결이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이는 명확한 논리적 사고는 문제해결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때문이며, 이러한 결과는 한국교육에 교육을 위한TOC의 적용 근거와 전략적 시사점을 마련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Now that creative problem solving based on logical thinking is required for various and complex problem solving, this study quantitatively measures the learning effect of TOC for Education useful for deriving an overall optimal solution, and found that it is effective for log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The logical thinking improvement process, which has been implicitly known, was embodied and specifi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OC for Education was a problem-solving method focusing on the flow of logic, and at the same time, it was proved that only logical thinking could be solved regardless of the degree of self-efficacy. This is because clear logical thinking creates a virtuous cycle of problem-solving, and this result can be seen as providing the basis for applying TOC for Education to Korean education and strategic implication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실증분석
5.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