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 34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기후환경 위기를 배경으로 친환경 기술의 개발도 가속화되는 국면에서 과연 신기술은 고용 및 노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가 기획되었다. 신기술의 발전은 한국과 중국 모두 사활적 이해를 걸고 국가와 산업계가 공동으로 노력하고 있는 분야이지만, 신기술이 고용관계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신기술 개발 지원 정책을 분석함과 동시에, 신에너지자동차, 섬유의류산업, 그리고 플랫폼 노동과 관련한 산업별 사례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이 같은 간극을 메워보고자 하였다. 이론적으로는 디지털 기술의 성격을 규정하고, 디지털 기술의 발달이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하였다. 특히 협의의 플랫폼 노동에 대한 논의를 넘어서서 플랫폼을 데이터를 추출, 분석,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로 규정하고, 다양한 영역과 층위에서의 플랫폼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의외로 비제조업에 대한 플랫폼 논의에 비해 제조업의 산업 플랫폼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지적하였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와 같이 산업별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이 부각되었다. 아울러 디지털 기술을 포함한 신기술의 확산이 모두 급진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지만, 종국에는 노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노동보호와 교육훈련 등이 필요하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신기술의 발전과 관련한 한국과 중국의 산업정책을 중심으로 거시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보론>에서는 미국과 독일의 산업정책을 소개하였는데, 미국은 선진 제조(advanced manufacturing)를 천명하고 각종 지원책을 쏟아낸 바 있으며, 독일 역시 산업 4.0 개념을 중심으로 특히 디지털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은 한국판 뉴딜을 중심으로 신기술 개발 정책이 추진되고 있음을 소개하였다. 또한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일자리를 잃게 되는 노동자들을 위한 고용안전망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항목을 명시적으로 포함하였다. 한국판 뉴딜은 2020년 7월 발표 이후 1년만인 2021년 7월 1.0에서 2.0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는데, 1.0에서 사람투자와 고용안전망으로 표시되었던 영역을 휴먼 뉴딜로 승격시킴으로써,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람과 사회의 능력 향상과 통합성이 유지되어야 함을 분명히 하였다. 그러나, 2025년까지 총사업비 220조원을 들이는 사업이 다음 정권에서도 지속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국문요약

제1장 서론(조성재·장영석)

제1절 문제제기와 연구의 구성

제2절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플랫폼

제3절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고용 및 고용관계의 변화

제4절 연구의 방법

제2장 기술개발 지원과 산업정책에 대한 거시적 논의(조성재·장영석)

제1절 한국의 기술개발 지원과 산업정책

제2절 중국의 산업정책과 플랫폼경제 촉진

제3절 소결

<보론> 미국과 독일의 기술개발과 산업정책

제3장 신에너지차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조성재·루오스치)

제1절 들어가는 말

제2절 한국의 전기차 생산 증대와 고용관계 변화

제3절 중국의 신에너지차산업 동향과 고용관계의 변화

제4절 한중 비교와 종합

제4장 IT기술 적용이 섬유의류산업의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노세리·왕칸)

제1절 들어가는 말

제2절 한국 섬유의류산업의 IT기술 도입과 고용관계의 변화

제3절 중국 섬유의류산업의 스마트화와 고용관계의 변화

제4절 한중 비교를 통한 시사점

제5장 플랫폼 노동의 확산: 음식배달업을 중심으로(손연정·장하오·조성재)

제1절 들어가며

제2절 한국의 음식배달플랫폼 노동 실태

제3절 중국의 음식배달플랫폼 노동 실태

제4절 한국과 중국의 음식배달플랫폼 산업 비교

제6장 종합결론(조성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