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통합과정 평가와 한국의 협력전략

  • 28

EAEU 통합과정에서 나타난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통합체로서 제도적 기반이 조성되었다. 둘째, 새로운 관세법이 제정되고, 금융, 전력, 석유ㆍ석유제품, 가스, 교통 서비스 분야에서 공동시장 조성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다. 셋째, 2017년부터 GDP 및 무역액이 증가하면서 통합의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다. 넷째, 다수의 비회원국과 자유무역협정 또는 무역ㆍ경제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EAEU가 가진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EAEU는 초국적 경제통합체로 기능하는 데 구조적 한계를 보인다. 둘째, 낮은 관세 조화 수준으로 인해 ‘제한된 관세동맹’에 머물러 있고, 완전한 공동시장도 아직 가시화되지 않았다. 셋째, 러시아의 리더십 한계로 인해 통합의 추진력이 약화하고 있다. 넷째, 보호주의적 특징이 경제통합의 성과를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와 한계를 고려할 때, EAEU 통합과정 발전에 대한 전망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EAEU가 해체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더 높은 수준의 경제통합을 달성하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둘째, 공동시장의 완전한 작동, 정부 조달 분야의 발전, 거시경제 안정성 유지 등이 이루어진다면 역내 무역이 더욱 촉진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신규 회원국 확보를 통한 거시경제적 잠재력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탈소비에트 국가들과의 협력 확대를 목표로 하는 ‘신북방정책’을 추진하는 한국의 입장에서 EAEU는 무역 확대 및 무역 다변화와 한국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지원하는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보고서는 한-EAEU 경제협력 전략으로 민간 및 시장 주도형 경제협력 전략을 제안하며, 그 추진전략과 협력방안으로 첫째, 현재 시장에서 산업협력 중점 분야의 식별과 지원, 둘째, 미래지향적 산업협력 중점 분야의 선정과 지원, 셋째, 한-EAEU FTA 추진을 제시한다. 첫째, 현재 시장에서 산업협력 중점 분야 협력방안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대세계 주력 수출산업의 EAEU 수직분업 산업(광물, 코크ㆍ정유ㆍ핵연료, 금속 등)과 상대 권역에서 수입되어 양 권역에서 내수로 소비되는 산업(광물 및 수송기기 등)은 시장에서 이미 성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즉 시장 주도 및 민간 주도의 무역 협력 구조와 체계가 작동하고 있으므로, 제3장에서 산업협력 중점분야로 선정되었다. 이 산업군에서의 산업협력 강화방안은 다음과 같다. ① 정부는 정부간 협력 차원에서 양 권역의 교역 잠재력 제약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협력 및 소통 체계를 제도화하는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② 한국의 대EAEU 수입품 및 EAEU의 대한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인하 노력이 필요하다. ③ 기존의 OD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EAEU 국가를 대상으로 수출 능력 경험 전수사업, 세관 등 무역원활화 지원사업, 각종 시장경제 능력 강화사업 등을 실행할 것을 권고한다.…

1. Evaluation of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EAEU The results of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EAEU are as follows: first, the EAEU has created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s an economic integrator. Second, the EAEU has enacted new tariff law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 common market in finance, electricity, petroleum and petroleum products, gas, and transportation services. Third, the effect of the integration of EAEU began to emerge as GDP and trade volume increased since 2017 gradually. Fourth, the EAEU has signed free trade agreements or trade and economic treaties with several non-member countries. Notwithstanding these achiev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EAEU are as follows: first, the EAEU has structural limitations in functioning as a trans-national economic integrator. Second, due to the EAEU’s low level of tariff harmonization, it remains in a “limited customs union,” and the complete single market of the EAEU has not yet been visible. Third, the limitations in Russia’s leadership have weakened the drive for the integration of the EAEU. Fourth, the protective features of the EAEU result in poor performance in economic integration. Considering thes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EAEU, the prospects for developing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EAEU will be as follows: first, it is unlikely that the EAEU will be dissolved, but it is difficult for the EAEU to achieve a high level of economic integration. If the common market is fully operational, the government procurements could be activated, and macroeconomic stability could be maintained, and regional trade could be further promoted. Third, to strengthen the macroeconomic potential, it would be required of the enlargement of EU with securing new member states. South Korea is pushing for a “New Northern Policy” to exp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former Soviet countries. Therefore, the EAEU is believed to become a partner in developing and diversifying trade, and creating new growth engines for Korea.…

국문요약

차 례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선행연구

3. 본 연구의 차별성 및 연구 방법론과 범위

제2장 EAEU 통합과정 평가와 전략적 가치

1. 탈소비에트 지역 경제통합의 발전과정

2. EAEU 현황 및 구조

3. EAEU 경제통합의 발전

4. EAEU 통합과정 평가와 발전 전망

5. 소결: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제3장 GVC 분석과 시사점

1. 분석 자료 및 연구 방법

2. 한국의 대EAEU 및 EAEU 3국의 대한국 주력 수출 산업

3. EAEU 3국과 한국의 대세계 수출이 유발하는 수출 증대 효과: 타이프 1 수직분업

4. EAEU 3국과 한국의 수출 분해와 타이프 2 수직분업

5. 소결: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제4장 한국-EAEU FTA 경제적 효과 분석

1. 분석모형 및 데이터

2. 연구 결과

3. 소결: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제5장 한-EAEU 산업협력 방안과 FTA 시사점

1. 디지털 경제와 혁신산업 부문

2. 제조업 부문

3. 의료ㆍ보건 산업

4. 소결 및 한-EAEU FTA 추진을 위한 시사점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EAEU 통합과정 평가와 정책적 시사점

2. 한-EAEU 경제협력 전략과 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