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하버마스의 니체 비판에 대한 니체의 가상적 답변

Eine Antwort auf Habermas’ Kritik an Nietzsche: Eine Betrachtung über die Normativität der Philosophie Nietzsches

이 논문은 니체(Friedrich Nietzsche) 사유의 비판적 수용에 있어서 ‘규범성의 결여’(Mangel an Normativität)로 이해되는 미학화(Ästhetisierung) 와 관련된 논의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니체에 대한 미적인 접근에 있어서 주로 문제시되는 부분은 존재론적으로는 ‘힘에의 의지’(Wille zur Macht)이고 인식론적으로는 ‘도취’(Rausch), ‘직관’(Intuition), ‘예술’(Kunst), 그리고 ‘계보학’(Genealogie)이라는 개념이다. 현대 철학에서 니체와 관련된 주요 논의 중의 하나는 힘에의 의지와 계보학의결합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담론’(Diskurs)에 의한 주체 이해이다. 이러한논의는 주체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의 비판을 겨냥하고 있다. 하지만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에 의하면, 이러한 비판은 인간을 힘에의 의지에 의존하는 도덕적 담론에 의해 설명함으로써 인간의 자율성을 위태롭게 하는 비-규범적인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 주체로서 인간의 죽음을 선언한 인간의 기계적담론화는 인간을 어떤 윤리적 주체나 인식적 주체로 세울 수 없는 한계를 노정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은 바로 니체의 계보학적 인간 이해를 진리론과 관련하여 상대주의 혹은 회의주의로 나아가 무정부주의로까지 치닫는 것으로 여긴다. 니체에대한 이러한 비판의 중심에는 니체의 존재론적·인식론적 사유에 대한 미적인이해가 그 중심을 차지한다. 니체의 사유를 전체적으로 미적인 것으로는 규정하는 이러한 접근은 그를 현대에서 다시 수용하는 데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러나 니체의 사유는 하버마스의 우려처럼 미적이기만 한가? 계보학은 미적인가? 필자는 이 물음에 대한 답변을 먼저 하버마스의 니체에 대한 비판에있어서 문제가 되는 관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그리고 그 비판의 적절성을살펴봄으로써 대답하고자 한다. 하지만 그 비판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그 부적절한 비판에서 놓치고 있는 관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함으로써 니체의 새로운수용을 시도해 볼 것이다. 결론적으로 니체의 존재론적·인식론적 사유를 미적으로만 파악하였던 기존의 미학적 수용의 한계를 계보학이라는 방법론과 ‘디오니소스적 예술가’(dionysischer Künstler)라는 개념에 대한 새로운 주목을통하여 극복해 볼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결국 니체에 있어서 윤리적 테마의확장을 목적으로 한다.

Diese vorliegende Arbeit zielt auf eine kritische Untersuchung der Ästhetisierung des Denkens Nietzsches. Die Kritik an Nietzsche stützt sich auf einen angeblichen Mangel an Normativität in seinem Denken. In der an der ästhetischen Auffassung orientierten Kritik geht es ontologisch um den Willen zur Macht und erkenntnistheoretisch um die Genealogie. In der gegenwärtigen Diskussion ist eines der zentralen Themen die Figur des Subjekts als diskursives Ergebnis der Begegnung des Willens zur Macht mit der Genealogie. Bei der Darstellung des Subjekts kritisiert man vor allem den traditionalen Subjektbegriff. Nach Habermas ist diese Kritik teilweise in eine gefährliche Sackgasse geraten: Insofern die Kritik von der Wirkung des Diskursiven auf das Subjekt ausgeht, komme sie bezüglich der normativen Basis nicht weiter. Die genealogische Figur des Subjekts fällt so hinsichtlich der Wahrheitsthematik in Relativismus, Skeptizismus oder gar Anarchie. In Zentrum der Kritik an Nietzsche steht seine angeblich nur ästhetische Auffassung des ontologischen und erkenntnistheoretischen Denkens. Diese Kritik an Nietzsche verhindert Wiederherstellung seines Denkens in der Gegenwart. Aber denkt Nietzsche wirklich so ästhetisch wie Habermas es kritisiert? Ist die Genealogie nur ästhetisch sogar im negativen Sinne? Als Antwort auf diese Frage versuche ich zunächst herauszufinden, worum es in der Kritik Habermas’ an Nietzsche geht, dann frage ich, in wie weit diese Kritik zutrifft. Falls sie nicht zutrifft, soll dargestellt werden, was Habermas in seiner Kritik möglicherweise ausgeblendet hat. Mir geht es bei meiner Untersuchung um eine Wiederherstellung des Denkens Nietzsches in der Gegenwart. Dazu soll die Aufmerksamkeit besonders auf die Genealogie und den Begriff des dionysischen Künstlers gelegt werden, um schließlich die ethische Thematik bei Nietzsche herauszuarbeiten.

1. 들어가는 말

2. 하버마스의 니체 비판: 미적인 논의와 윤리적인 논의의 접목의 가능성 대한 물음

3. 미적인 것에 대해 하버마스가 오해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관점

4. 하버마스의 비판에 대한 니체의 가상적 답변: 가치전환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해체적인 경향성의 접목

5. 가치전환의 수단: 미적인 것에서 계보학적인 것으로의 이행

7. 가치전환의 수단으로서 계보학적 사유

9. 맺는 말: ‘디오니소스적 예술가’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