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mong Graduate Student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2권 18호
-
2022.09963 - 979 (17 pages)
-
DOI : 10.22251/jlcci.2022.22.18.963
- 296

목적 본 연구는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 희망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경상 지역에 소재한 일반대학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원생 총 223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성취목표 지향성, 희망을 측정하는 질문지법(Questionnaire Method)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2월 15일부터 4월 10일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실시하였고, 설문 결과는 SPSS 25.0와 AMOS 2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는 희망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학원생의 희망은 성취목표 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는 성취목표 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 간의 관계에서 희망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한국 대학원생과 외국 대학원생에 따라 사회적 지지, 희망, 성취목표 지향성 간의 경로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는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학원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개입방법의 모색과 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hope in graduate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thods A total of 223 male and female graduate students attending general graduate schools in Seoul, Gyeonggi, and Yeongnam regions were surveyed to the Questionnaire Method to measure social suppor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hop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about two months from February 15 to April 10, 202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4.0 programs. Results First, the social support of graduate students has a positive (+) effect on hope. Second, graduate students' hopes have a positive (+) effect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ird, the social support of graduate students has a positive (+) effect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uate student's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s partially mediated by their hope. Fif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h of social support, hop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cording to Korean graduate students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Conclusion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graduate students,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