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대한부동산학회지 제6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이 인근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2030 Housing Project for Young People on Nearby Housing Prices

DOI : 10.37407/kres.2022.40.3.75
  • 556

청년 주거문제는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수도권 젊은이들과 직장인들 사이에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났다. 이에 서울시는 청년계층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사업을 발표했다. 청년들에게 대중교통 접근성이 높은 임대주택을 공급함으로써 이들의 주거안정을 도모함과 동시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 사업은 기존의 공공임대주택과 같이 인근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사업 초기부터 난항을 겪은 바 있다. 본 연구는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의 공급이 완료된 13개 사업지역을 대상으로 주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의 공급은 공간적 범위와 분석 시점에 따라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은 단기적으로 인근 지역의 주택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입주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청년층 유입의 지역경제를 활성화 효과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It has been proven from the previous research that rising housing prices affect not only timing of the first marriage, but also family planning of young people. In response to housing shortage for young peopl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ame up with ‘the 2030 Housing Project for young people’ designed to supply social rental housing to young people in areas close to subway station. However, the project had been faced with the opposition from the nearby residents who are concerned with a decline of property valu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2030 Housing Project for young people on the nearby housing prices using a hedonic-based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The main finding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supply of the 2030 Housing Project for young peopl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nearby housing prices at first, and then turned into a positive effect over time. Such a result might be related to the fact that young people have a key role to play in fostering local economies and vitalizing commercial districts in the community.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모형 및 분석지역선정

Ⅳ.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이 인근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