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영남고고학 제9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철기시대 남한지역 통나무관의 발생과 전개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Split Log Coffins in South Korea during the Iron Age

남한지역의 통나무관묘는 전체 7개 단계로 획기된다. 제I단계(기원전 250~200년)는 원형점토대토기와 청동기만이, 제II단계(기원전 199~100년)는 I식 장방형 주조철부, 제III단계(기원전 101~50년)는 삼각형점토대토기, II식 장방형 주조철부, I식 제형 주조철부, I식 장방형 판상철부, 제IV단계(기원전 49~1년)는 발생기 와질토기, II식과 III식 장방형 주조철부, II식 제형 주조철부, II식 장방형 판상철부, II식 단제형 판상철부, 제V단계(1~50년)는 III식 장방형 주조철부, III식 제형 주조철부, II식 장제형 판상철부, 제VI 단계(51~100년)는 III식 장제형 판상철부, 제VII단계(101~150년)는 고식 와질토기의 가장 늦은 형식 등이 조합하는 단계이다. 남한지역 통나무관묘는 남한지역의 맥락 속에서 자생된 것이다. 청동기시대 전기 후반~송국리기 전기에는 노거수와 거목에대한 신앙과 제의만 있다가 송국리기 후기 또는 세형동검문화 전기에 立大木제의가 발생하였고, 다시 대곡리기에 이르러 청동기 제작기술을 장악한 대곡리집단의 창의적인 수장층이 노거수와 거목을 통나무관으로 전환함에 따라 발생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통나무관은 전남 내륙에서 발생하여 기원전 100년 이전까지는 만경강 유역과 경기지역에 분포하다가, 기원전 100년을 기점으로 동남한으로 확산되었고, 이후 동남한이 분포의 절대 중심을 이루다가 150년 전후 매장관념의 변화에 따라 소멸되었다.

The split log coffin burial in South Korea is largely divided into seven stages. Stage I(250~200 B.C.) featured an attached-round rim vessel and a bronze implement; Stage II(199~100 B.C.) a type Ⅰ rectangular cast-iron axe; Stage III(101~50 B.C.) an attached-triangular rim vessel, a type-II rectangular cast-iron axe, a type-I lozenge cast-iron axe, and a type-I rectangular flat iron axe; Stage IV(49 B.C.~1 A.D.) a nascent soft gray pottery, a type-II and type-III rectangular cast-iron axe, a type-II lozenge cast-iron axe, a type-II rectangular flat iron axe, and a type-II short lozenge flat iron axe; Stage V(1~50 A.D.) a type-III rectangular cast-iron axe, a type-III lozenge cast-iron axe, and a type-II long lozenge flat iron axe; Stage VI(51~100 A.D.) a type-III long lozenge flat iron axe; Stage VII(101~150 A.D.) the latest type of a gray pottery in the early period, etc. The split log coffin burial in South Korea arose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on its own. It is thought that only beliefs and rituals for old big trees and big trees existed from late the first half of the Bronze Age to the first half of the Songgugni type culture, and that there were rituals for big trees(立大木) in the second half of the Songgugni type culture or in the first half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type culture. It is also thought that returning to the Daegok-ri type culture, the creative chiefdom stratification of the Daegok-ri group that dominated the bronze implement technology occurred as old big trees and big trees were converted to split log coffins. Split log coffins generated in the inland area of Jeollanam-do were distributed in the Man-kyung river basin and Gyeonggi region before 100 B.C. Since then, they spread to the eastern part of South Korea which later became the core part of their distribution, and they became extinct according to the change of burial concept before and after 150 A.D.

Ⅰ. 머리말

Ⅱ. 속성과 형식

Ⅲ. 획기의 편년

Ⅳ. 기원과 전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