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안전지수는 지역의 안전도 수준을 계량적으로 제시함으로서 재난 위험을 감소하고 안전수준을 높이는데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안전지수 중 화재분야의 등급 저조 원인을 파악하여 지역안전지수에 활용되는 지표에 따른 대응방안을 고려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화재발생 사고현황을 분석하여 지역별, 계절별, 장소별, 연령별 화재발생 원인을 파악하였으며, 지역안전지수가 저조한 요인으로서 지표값을 비교 하였다. 이를 통해 각 요인의 결과와 지수 등급의 지역간 불균형이 심각함을 발견하였다. 지역안전지수 등급 향상을 위해서는 취약지역인 충남남부 7개 시군의 화재발생 감소를 위한 조치와 소방서 종사자수 및 화재 구조실적 간 상관도를 반영한 인력배치의 개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지역안전지수 지표값 산정 방식 자체의 불합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발생건수당 화재구조실적 가중치 평가 방식 개선 필요성과 위해지표의 위해성 편향을 제거하기 위해 사망자 중심의 지표를 재산피해와 부상자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low grade in the fire sector among the regional safety indexe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in consideration of the indicators used in the regional safety index. The current state of fire accidents over the past five years was analyzed. The causes of fires by region, season, place, and age were identifi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gional imbalance of the index value of each factor and the index grade was serious. In order to improve the regional safety index level of Chungnam-do, measures to reduce fires in 7 cities and counties in the southern region, which are vulnerable areas, are need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anpower allocation that reflec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irefighters and the fire rescue performance. Finally, the unreasonable point of the local safety index calculation method itself needs to be improved. In order to remove the risk bias of the risk index, the fatality-centered index can be shifted to include the number of property damage and the number of injur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노인요양시설 화재발생 사례분석
Ⅳ. 피해저감을 위한 원인과 대안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