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 역사수업의 이상과 현실에 대한 단상

Reflections on the Ideals and Reality of Elementary History Class: Two Narratives from 5th Grade Two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이 역사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교육적 요소를 동시에 획득하려는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질적인 역사교육의 문제점이 해소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J초등학교 두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계획했던 내용과 실제 수업으로 나타나는 장면에서 다음과 같은 교사들의 이해와 오해가 발생하였다. 첫째, 활동식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규정하고 지향하였지만, 실제 수업에서는 강의식 수업의 비중이 높았다. 둘째, 교사들은 교과서 활용도가 줄어들었다고 하였지만, 가르치는 교과서의 내용은 줄어들지 않았다. 셋째, 부가적인 학습자료의 투입이 학습자의 흥미를 고취시킬 것이라고 생각하였지만, 반드시 학습자의 흥미를 담보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육의 맥락을 이해한 바탕 위에서 역사수업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y problems of chronic history education are not solved despi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tant efforts to acquire students' interest and educational elements simultaneously in history clas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sons for this phenomenon, the classes of two teachers of J elementary school were observ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s'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occurred as follows in the planned content and the scene that appeared as an actual class. First, activity-style classes were defined and aimed as good classes, but the proportion of lecture-style classes were higher in actual classes. Second, teachers said that the utilization of textbooks has decreased, but the content of teaching textbooks has not decreased. Third, it was thought that the input of additional learning materials would improve the learner's interest, but it did not necessarily guarantee the interest of the learn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on the foundation of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elementary education,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history classes were suggested.

Ⅰ. 문제제기: 초등학교 역사수업의 딜레마

Ⅱ. 연구맥락 및 방법

Ⅲ. 두 초등교사의 ‘역사수업’ 시간 들여다보기

Ⅳ. 수업 단상: 초등학교 역사수업에 대한 이해와 오해

Ⅴ.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