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열린교육연구 제30권 제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판수 누적(版數累積) 교과서 제도의 학교급과 교과별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level and Subject-Specific Applications of a Textbook with Multiple Editions

DOI : 10.18230/tjye.2022.30.5.189
  • 72

본 연구는 교과서 질 관리의 한 방법으로 교과서를 초판 이후에 꾸준히 수정·보완해 나가는 판수 누적 교과서를 제안하며, 학교급 및 교과별 적용과 제도적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판수 누적 교과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개관한 후 해외 사례를 조사하였고, 판수 누적 교과서 제도 도입에 적합한 학교급, 교과 특성, 학교급별 교과 우선순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급으로 보면 초·중학교의 교과서에서 판수 누적 적합도가 높았으며, 둘째, 교과로 보면 초등에서는 수학→도덕→국어 순으로, 중학교에서는 한문→역사→수학→도덕→국어 순으로 판수 누적 적용 필요성이 크게 나타났고, 셋째, 교과서의 판수 누적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의 일부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판수 누적 교과서 도입을 초·중학교의 ‘국어 수학, 도덕, 역사, 부도’ 중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할 필요를 제안하였고,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의 해당 조항 개선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the textbook with multiple editions', which is gradually improved via new editions as a method of managing the quality of the textbook, an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s of this new type of textbook. Also, systemic support measures are dealt with. After reviewing the preceding studies, overseas cases were investiga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ich school-level and subject is more suitabl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textbook with multiple edi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case of school level, it is more appropriate to apply the textbook with multiple edition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econd, in the case of subject, Mathematics, Moral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are top 3 in elementary school, and Chinese characters, History, Mathematics, Moral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are top 5 in middle school that the need for the multiple editions is high. Thir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revise some contents of the relevant provisions to systematically support the textbook with multiple edi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textbook with multiple editions should be carried out on a trial basis among 'Korean language, Mathematics, Moral Education, History, and Atlas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t was also proposed to improve the relevant provision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