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설계의 우선순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지방자치단체의 콘텐츠 정책을 위한 제도 설계 시 전문가그룹의 지원제도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콘텐츠 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추구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와 현행 지방자치단체 콘텐츠 제도분석을 통해 AHP 구조도를 설계하고, 이 구조도를 통해 제도 설계 시 지원정책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며, 본 연구에서 기술한 내용을 중심으로 제도 설계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정책 방향을 위한 세부 과제로는 기술개발(23.280), 창업(22.488), 입주공간 및 임대료(18.297), 고용 및 교육훈련 보조금(18.00),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자금(16.884), 첨단기술과 장비(15.768), 국내외 콘텐츠 전시회 참가 및 홍보(14.056), 해외 로케이션 인센티브(12.347), 콘텐츠 진흥기금설치(10.162), 세제 혜택(9.585) 순으로 나타났는데, 실제 콘텐츠 전문가들은 콘텐츠 산업을 위한 중요한 제도설계에 있어 기업체에 직접적인 지원과 지속적 지원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This study is started with the purpose of empirically verifying the priority of institutional design for revitalization of the content industry of local governments. This i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pursue the effectiveness of content support policies based on the opinions of expert groups when designing systems for content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A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the AHP structure diagram was design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current content system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this structural diagram, the priority of support policies was confirmed when designing the system. In addition,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system design were derived based on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detailed tasks for policy direction include technology development (23.280), start-up (22.488), occupancy space and rent (18.297), employment and education and training subsidies (18.00), education and training funds for manpower nurturing (16.884), advanced technology and equipment (15.768), participation and promotion of domestic and foreign exhibitions (14.056), overseas location incentives (12.347), content promotion fund installation (10.162), and tax benefits (9.585) were in the order. Experts judged that direct support and continuous support policies should be supported by companies in designing important systems for the content industry.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과 제도 분석
Ⅲ. 조사 설계 및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