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신학사상 198집(2022년 가을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변화의 공간 안에서 중간대상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십자가 이해

An Understanding of the Cross of Christ as a Transitional Object within an Intermediate Area: From a Perspective of Pastoral Psychology

DOI : 10.35858/sinhak.2022..198.008
  • 59

이 글의 목적은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도널드 위니캇의 “중간대상”의 개념을 근거로 하여 목회심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 있다. 중간대상이란 특별한 의미와 형태를 지니고 창조적 변화를 촉진시키는 대상으로서 건강한 자기의 구조를 형성하게 하고 관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켜 나가게 한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인간의 세계와 하나님의 세계를 이어주는 일종의 중간대상의 기능을 한다. 아이가 안아주기를 통하여 엄마의 사랑과 돌봄을 체험할 수 있는 것처럼, 신자는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하여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체험할 수 있다.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상호 내주하는 공간이 구축되는 가운데, 하나님은 인간을 위하여 ‘근원적인 변화를 제공하시는 존재’로서 그리고 ‘충분히 좋으신 존재’로서 역동적으로 역할을 감당하신다. 변화의 공간 안에서 중간대상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온전한 사랑의 관계성을 회복시키고, 치유와 자유를 고양시키며, 나아가 섬김과 환대로서의 십자가공동체를 형성해 가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cross of Christ by using Donald W. Winnicott’s concept of a transitional object from a perspective of pastoral psychology. The transitional object refers to the peculiar and relational object which includes the special meaning and form for promoting creative transformation, and which is able to establish the sound structure of the self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be related.’ The cross of Christ is a kind of a transitional object which connects the world of God and the world of the believer together. As a baby is able to experience a mother’s love and care through holding, a believer is able to experience God’s love and grace through the cross of Christ. While establishing the mutually-related space of change between God and the believer(s), God acts as both ‘a transitional Being’ and ‘a good-enough Being.’ Within the intermediate area of experience, the cross of Christ as a transitional object recovers loving relationship, facilitates healing and caring, and makes a cross community of service and hospitality.

Ⅰ. 들어가며

Ⅱ. 도날드 위니캇의 중간대상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Ⅲ. 십자가에 대한 기본적 이해

Ⅳ. 변화의 공간 안에서 중간대상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십자가 이해

Ⅴ. 나가며 ― 중간대상으로서의 십자가 이해에 담긴 목회상담의 함축적 의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