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아태연구 제29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건계수자료(GDELT)를 활용한 한·중 양자관계 역학 분석

A Time Series Analysis of the Dynamics of Korea-China Relations with GDELT Data

한중수교 30년간 중국은 도움과 조언을 구하는 국가에서 경쟁자를 거쳐 간섭과 압력을 통해 자국의 국익을 관철하려는 패권국으로 변화했다. 중국의 변화와 한중외교에 대처를 위해 역학관계의 실체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본 연구의 문제의식이다. GDELT 사건계수 자료를 활용하여 1970년 1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정부의 변화에 상응하는 양자관계의 변화를 논의했다. 본 연구의 회귀분석은 1992년 5월∼2022년 5월까지 360개월(30년)을 대상으로 한중관계와 미중관계에 대해 시계열 자료를 분석했다. 결론은 한중관계의 주요 변인은 호혜성, 국제질서의 변화, 미·중 세력균형을 들 수 있다. 동아시아 인접국인 한중관계에 대한 미국의 역할은 ‘3자 위협’ 가설이 작용한다고 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통계분석에 대한 논의의 결론으로 제시하려는 정책제언은 중국과 산업, 경제, 기술 분야에서 한국 스스로 공세적인 외교와 한미동맹을 이용하여 중국을 압박하는 정책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For 3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China has transformed from a country seeking help and advices from South Korea to a competitor and now into a clumsy hegemon that seeks to achieve its national interest through interference and pressure to the former mentor.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importance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Korea-China diplomacy and the necessity to provide an appropriate policy suggestion to cope with China’s transformation. As a conclusion, the main variables in Korea-China relations are reciprocity,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and the systemic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US and China. Regarding the role of the United States in Sino-Korea rela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three-way threat hypothesis works. In other words, the U.S. affects China’s foreign policy toward Korea in terms of the Korea-China bilateral relations, which are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The policy proposal to be presented as the conclusion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requires South Korea’s oppressive and aggressive diplomacy to China and the ROK-US alliance with China in the fields of industry, economy, and technology.

Ⅰ. 들어가는 말

Ⅱ. 기존연구의 평가와 이론의 제시

Ⅲ. 한중관계의 분석: 가설과 이론의 검증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