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한-중-일에서는 거의 동시적으로 자국의 외교와 관련된 서적이 편찬되었다. 조선의 『海東諸國記』, 일본의 『善隣國寶記』, 명나라의 『皇明外夷朝貢考』가 그것이다. 『해동제국기』는 조선이 자국 중심으로 소중화 세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만든 외교 지침서이다. 그런데 조선 내부의 시선만을 투사해서는 그 세계의 입지와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다. 즉 ‘海東諸國’의 心象地理를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구도가 필요하다. 그런 『해동제국기』의 건너편에 『선린국보기』의 세계가 있다. 본고는 이런 관점에서 『선린국보기』에 주목한 첫 번째 연구이다. 『선린국보기』는 室町막부 때 편찬된 ‘일본 최초의 외교사서’로 평가받는데, 1392년 일본에서 조선으로 발신한 「答朝鮮書」부터 1486년 역시 조선으로 발신한 「遣朝鮮書」까지 약 100여 년간 총 42건의 외교문서가 실려 있다. 편찬자인 외교승 瑞溪周鳳은 ‘중국-일본간의 외교역사’를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일본에서 조선으로 발신한 문서가 약 15건으로 가장 많다. 『선린국보기』는 일본 실정막부의 五山禪僧 및 일부 관료 지식인이 공부하도록 만든 한문으로 된 외교 교과서이다. 그 내용은 ‘神國으로서 佛國’이라는 일본의 自國觀, 각종 외교 지식과 禮制, 즉 당시 일본에서 실질적으로 외교 업무를 수행하고 있던 사람에게 필요한 가치관과 지식들이다. 「善鄰國寶記序」와 본문의 비평에서 서계주봉은 명나라가 자국 중심으로 구축한 조공-책봉의 체제에 일본이 定住하지 않았음을 주장했다. 이는 『선린국보기』에 수록된 외교문서의 年號 사용, 발수신자 표현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조선과의 외교는 조공책봉 체제의 밖, 다른 외교의 영토에서 이루어졌다. 조선 또한 그런 일본의 방식을 공식적으로 문제 삼거나 통일된 질서를 강제하지 않았다. 즉 명이 개입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諸國’ 외교의 현장은 명이 구성한 책봉-조공의 질서에 반드시 의거했던 것이 아니다. 조선은 자국을 중심으로 하는 ‘소중화’·‘해동제국’의 질서를 구축하려고 했다. 『해동제국기』는 그런 인식의 결과물이다. 『선린국보기』 또한 자국의 견지에서 일본이 그린 외교의 영토를 보여준다. 명나라는 이런 동상이몽 속 주변국들을 조공-책봉이라는 체제로 위계화하고 사대교린의 외교 관념을 관철하려고 했다. 『황명외이조공고』가 보여주는 ‘외이’의 세계 지리는 그런 인식의 일단이다. 그러나 이런 천하질서는 동아시아에서 고르게, 그리고 전면적으로 실행되지 않았다. 『선린국보기』의 외교문서는 이를 예증한다. 향후 『선린국보기』에 수록된 외교문서 자체를 고찰하고 총체적으로 『선린국보기』의 성격을 규명한뒤, 조선의 『해동제국기』와 『선린국보기』, 그리고 『황명외이조공고』를 한 시야에 넣고 고찰하고자 한다.
In the 15th century, Korea, China, and Japan were compiling books related to their own diplomacy almost simultaneously. Those books are HaeDongJeKukGi(海東諸國記) by Joseon,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by Japan, and HwangMyeongOeYiJo GongGo(皇明外夷朝貢考) by Ming. HaeDongJeKukGi(海東諸國記) is a diplomatic guide created by Joseon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little Sinocentric world centered on its own country. 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position and meaning of such a world by projecting only the gaze of the interior of Joseon. In other words, a composition that can view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HaeDongJeKuk(海東諸國)' three-dimensionally is necessary. Across from such a HaeDongJeKukGi(海東諸國記) is the world of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to pay attention to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from this point of view.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compiled during the SilJung(室町) bakufu period, is regarded as 'the first diplomatic history book of Japan', which included a total of 42 diplomatic documents over 100 years from ‘DapJoseonSeo(答朝鮮書)’ sent to Joseon from Japan in 1392 to ‘GyeonJoseonSeo(遣朝鮮書)’ sent to Joseon in 1486. Compiler SeoGyeJuBong(瑞溪周鳳) professes “the history of diplomacy between China and Japan,” but in reality, the number of documents sent from Japan to Joseon were the largest as about 15, confirming that Korea was the most important object of Japanese diplomacy at the time.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is a diplomatic textbook written in Chinese for the education of Osan-zen monks, who were in charge of foreign affairs of the Sil Jung(室町) bakufu, and the intellectuals of the bakufu. It introduced Japan's identity as 'the country of Buddhism as a country of God' and presented examples of diplomatic documents, so it can be said that it contained the values and knowledge necessary for those who were actually conducting diplomatic affairs in Japan at the time. SeoGyeJuBong(瑞溪周鳳) argued that Japan carried out successfully and voluntarily the fusion between Shinto, which exis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ld’ in Japan, and Buddhism, foreign ideas, thereby gaining its status as the most fundamental and ideal world-a Buddhism country among East Asian countries. Based on his own country’s view, he argued that in terms of diplomacy Japan was not settled in the diplomatic system that the Ming dynasty was building centered on its own country. However, the editor's notion does not coincide with all the documents published in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and the diplomatic direction of the SilJung(室町) bakufu. In this respect,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is an inconsistent book.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use of the era name, the expression of senders and recipients, etc. in diplomatic documents recorded in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diplomacy with Joseon in Japan was conducted in other territories outside the Ming dynasty-centered tribute-investiture system. Joseon also neither took issue with Japan's such methods formally and blatantly nor forced a unified order. In other words, the field of 'JeKuk(諸國)' diplomacy, which took place in a situation where Ming did not intervene, did not have to necessarily depend on the order of tribute-investiture established by Ming. Joseon tried to create an order of ‘HaeDongJeKuk(海東諸國)’, ‘little Sinocentrism, centered on its own country. HaeDongJeKukGi(海東諸國記) is the result of such recognition. SunRinKukBoGi(善隣國寶記) also shows the diplomatic territories drawn by Japan from the point of view of its own country. The Ming Dynasty tried to hierarchize neighboring countries with the so-called tribute-investiture system amid such different dreams inside the same bed and accomplish the diplomatic concept of Sadae-Gyorin(事大交隣). The world geography of the 'outer
1. 들어가는 말
2. 瑞溪周鳳과 『선린국보기』
3. 서계주봉의 자국 및 외교 인식
4.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