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定齋 柳致明의 산문을 통해 고찰한 전통 시대 가치의 계승과 그 의미

The Succession and Meaning of Traditional Era Values consideredthrough the Prose of Jeongjae(定齋) Ryu Chi-myeong(柳致明)

DOI : 10.17293/dbkcls.2022.92.
  • 6

定齋 柳致明은 퇴계 학맥의 虎派 계열 嫡統을 계승하였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정재는 퇴계 학맥에 기반을 둔 가학의 전통을 바탕으로 종증조부 東巖 柳長源과 李象靖의 제자인 損齋 南漢朝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정재는 평생 벼슬하는 데 큰 뜻을 두지 않고 강학과 저술 활동에 주력하면서 가학의 전승 및 퇴계 학맥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 결과 일명 ‘정재학파’라고 불리는 많은 제자를 배출하였는데, 이들은 19세기 말의 혼란한 국내 상황과 외세 침략에 맞서 영남을 중심으로 한 위정척사운동 및 의병운동과 독립운동의 중심에 서서 실천적 지식인의 면모를 드러내었다. 본고에서는 정재학파 문인들의 실천 지향성과 스승 정재 류치명과의 연결고리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하여 정재의 산문 작품을 고찰해 보았다. 첫째, 충·효·열의 전통 윤리를 강조하는 작품을 살펴보았다. 정재는 文과 武의 가치를 겸비하고 있으면서 불가항력적인 외부 상황에 발맞추어 그에 가장 적합한 모습을 보일 수 있는 입체적이고 유연한 인물을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추구하였으며, 국난의 상황에 개인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대의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절의를 지녔던 인물에 대하여 높은 가치를 부여하여 찬미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유가의 학맥 전승 및 관련 인물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다. 진일재 류숭조에서 시작하여, 이황-김성일-장흥효-이현일-이재-이상정으로 이어지는 학맥의 계승 인물의 업적과 공로를 드러내 밝혀서 그들의 입지를 확고하게 하고, 그들을 모범으로 삼아서 본받아야 할 점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였다. 셋째, 출처의 의리나 誠意에 입각한 평탄함의 도리 등 유교적 가치관을 천명하는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철저히 의리에 입각하여 세상에 나아가거나 물러나는 지조를 강조하고, 선악의 향방을 엄정하게 판단하여 인의를 실천한 뒤에 담보할 수 있는 心廣體胖의 경지를 추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서세동점의 격변기에 정재학파 문인들이 보여준 실천 지향성은 유학의 현실대응력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로 작용한다. 이들이 보여준 치열한 실천 지향성은 유가의 도통론에 기반한 소명 의식과 유학의 근본 명제를 원칙론적으로 수용하여 철저히 자기화한 과정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고 보여지며, 그 기저와 단서를 정재의 학문과 사상이 집약되어 구현된 산문 작품을 통하여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재 문학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겠다.

Jeongjae(定齋) Ryu Chi-myeong(柳致明) was a person who was evaluated to have inherited the legitimacy of Hopa(虎派) affiliation of the Toegye(退溪)’s academic lineage.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 of family learning based on the Toegye’s academic lineage, Jeongjae studied under his great-grandfather’s brother Dongam(東巖) Ryu Jang-won(柳長源), and Sonjae(損齋) Nam Han-jo(南漢朝) who was a disciple of Lee Sang-jeong(李象靖). Jeongjae played a continuous role for the transmission of family learning 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Toegye’s academic lineage, while focusing on lectures and writing activities without much intention to become a government official for all his life. As a result, he produced many disciples, so-called ‘Jeongjae School’, they revealed the aspect of practical intellectuals while standing at the center of the Wijeongcheoksa[Protect the Neo-Confucianism and Expel a perverse religion, 衛正斥邪] movement, the righteous army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around Yeongnam in response to the chaotic domestic situation and foreign invasion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is paper, with the intention to explore the practical orientation of Jeongjae School disciples and the link between them and their teacher, Jeongjae Ryu Chi-myeong, Jeongjae’s prose works were consider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 examined the works that emphasized the traditional ethics of loyalty, filial piety, and fidelity. As an ideal human figure, Jeongjae pursued a three-dimensional and flexible person who had the values of literary and military arts, and who could show the most appropriate appearance in accordance with the force majeure external situation. Also, he praised and gave high value to a person who had the fidelity to devote his life for a great cause without caring for individual safety in the situation of national crisis. Second, I looked at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ansmission of Confucian academic lineage and related figures in Korea. Ryu Chi-myeong focused on solidifying their position by revealing the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of the successors of the academic lineage which had begun with Jiniljae Ryu Sung-jo, and had continued to Lee Hwang - Kim Seongil - Jang Heunghyo - Lee Hyeonil - Lee Jae - Lee Sangjeong. Also, he concentrated on suggesting what to imitate by setting them as model. Third, I considered the aspects of clarifying the Confucian values such as the loyalty of Chulcheo[出處, entering into and withdrawing from government service] or the reason of composure based on Sincerity[誠意].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he emphasized the constancy of going forward or retreating from the world completely based on loyalty, and pursued the stage of SimgwangCheban[心廣體胖, The mind becomes generous and the body becomes comfortable] that could be guaranteed after practicing benevolence and benevolence by strictly judging the direction of good and evil. The practical orientation shown by the Jeongjae School disciples, during the upheaval of the eastern penetration by Western powers, serves as an indicator that vividly shows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reality of Confucianism. The intense practical orientation they showed seems to have been possible because there was a process of thoroughly personalizing by in principle accepting the vocation consciousness based on the Genealogy theory of Confucianism, and the fundamental proposition of Confucianism. The value of Jeongjae literature can be evaluated in that the basis and clues can be sufficiently confirmed through prose works implemented by integrating Jeongjae’s studies and ideas.

1. 서론

2. 忠·孝·烈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

3. 道統의 전승에 대한 재확인

4. 유교적 가치관에 대한 천명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