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정책연구 제22권 제3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사회신뢰가 환경 및 에너지 문제 인식의 강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COVID-19 이후 변화된 대인·정부·NPO 신뢰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사회신뢰가 COVID-19 이후 변화된 신뢰(대인신뢰, 정부신뢰, NPO신뢰)를 매개로 하여 환경 및 에너지 문제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사회신뢰는 COVID-19 이후 정부신뢰와 NPO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인신뢰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 및 에너지 문제가 현재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에 있어서는 COVID-19 이후 정부신뢰(-)와 NPO신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 및 에너지 문제가 미래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에 있어서는 COVID-19 이후 대인신뢰(+), 정부신뢰(-), NPO신뢰(+)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인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신뢰수준(사회신뢰)이 COVID-19 이후 변화된 신뢰를 매개로 환경 및 에너지 문제에 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할 수 있었고, 신뢰가 환경 및 에너지 문제를 인식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 사회문제를 인식하는데 사회자본이 기능할 수 있다는 점 등에 기초하여 COVID-19 이후 우리 사회 전반의 신뢰 회복 필요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social trust on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energy problems with the mediation of changed trust(government trust, interpersonal trust, NPO trust) since the COVID-19. In the results of analyzing it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since the COVID-19, the social 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government trust and NPO trust while it had negative(-) effects on interpersonal trust. Also, in regard of perceiving that the environmental/energy problems w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current life, since the COVID-19, the government trust(-) and NPO trust(+) had effects on it. In regard of perceiving that the environmental/energy problems w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future life, since the COVID-19, all the interpersonal trust(+), government trust(-), and NPO trust(+) had effects on it. This study could verify the effects of trust level(social trust) each individual had on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energy problems with the mediation of changed trust since the COVID-19. This study also drew some implications like the trust would have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energy problems, and the social capital could function to perceive social problems.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가설 설정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