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각지도가설(Steriade 2001,2003)에 근거하여 불완전한 랩라임에 나타난 분절음 자질 유사성이 라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영어와 한국어에 나타난 청음심리유사성의 현상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미국 랩 80곡, 한국 랩 90곡을 선정하여 분석했다. 분석을 통해 총 15,881의 라임쌍을 추출하였으며 그 중에서 완벽한 라임쌍을 제외하고 4,662개의 불완전한 라임쌍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각 불완전한 라임쌍에 나타난 자질유사성을 계산하기 위해 Frisch(1996)와 Frisch et al.(2004)에서 산출된 영어자질 유사성 수치와 제시된 공식을 사용하여 산출한 한국어 자질 유사성 수치를 사용하였다. 라임화의 수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관찰값-기댓값의 수치를 사용하여 위치자질, 방법자질, 주요부류자질 상의 라임화 수치를 계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약간의 불일치를 제외하고는 자질 유사성이 라임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질유사성과 불완전한 라임화의 형성에 나타나는 불일치는 라임이 나타나는 맥락 특성의 영향인지 언어 개별 특성 요인인지는 구체적인 요인을 추가하여 추후 연구를 진행하여 보여 줄 수 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feature similarity affects the rhymability of slant rhym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map hypothesis (Steriade 2001, 2003). The data consist of 15,881 rhyming pairs in 80 American rap songs and 90 Korean rap songs. Except for perfect rhyming pairs, this study focuses on 4,662 slant rhyming pairs so as to find out the impact of psychoacoustic similarity on forming a rhyming pair. To calculate between the feature similarity and rhymability, this study employs Similarity values and Observed-Expected values. This paper compares English and Korean raps in three feature classes: place, manner, and major class. With a few exceptions, results from the analysis confirm the feature similarity affects rhymability. This is in good agreement with a previous study(Kawahara 2007).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인용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