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38권 제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의 현장 적합성 조사

Field suitability survey of Korean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cluster of elementary school

DOI : 10.14333/KJTE.2022.38.5.08
  • 167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의 현장 적합성을 탐색하는것에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 개발한 설문지와 면담지를 활용해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국어와 국어 활동 교과서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았다. 그런데, 제재 흥미, 학습 활동 수준,교과서 학습량 적정화, 한글 해득 학습 강화 등은 현장의 요구를 고려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 교과서의 교사 교육 기능 중 한글 지도 방법에 대한 연수, 학습자 중심 수업 혁신, 교사교육과정 개발능력 함양 기능도 보완해야 할 것이다. 결론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의 현장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어와 국어 활동 교과서의명확한 관계 정립, 제재 흥미 강화 방안, 학생의 흥미를 고려한 학습 활동 수준 등을 보완해야 한다. 본연구 결과가 새 국어 교과서 개발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ield suitability of Korean textbooks for the 1st and 2nd graders that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Field suitability was investigated for teachers and students using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developed for this study. Resul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activity textbooks was high. However, it was determined that it wa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interests of sanctions, the level of learning activities, the appropriate amount of textbook learning, and the reinforcement of learning Korean language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the field. In addition, among the teacher education functions of textbooks, training in th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method, learner-centered class innovation, and teacher curriculum development ability development functions should be supplemented.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field suitability of Korean textbook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strengthen the sanctions interest, and to supplement the level of learning activities that take students' interests into consideration.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of help with the development of new Korean textbooks.

Ⅰ. 서 론

Ⅱ. 연구 설계

Ⅲ. 연구 결과

Ⅳ. 연구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