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住居環境 제20권 제3호 (통권 제57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커뮤니티 분석을 통한 연령층별 방문인구 이동의 공간적 패턴 변화 연구

경상남도 내부 이동을 중심으로

지역 인구 규모는 자연증감보다는 인구이동으로 인한 사회변화에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초지자체는 인구이동과 관련된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아울러 지역 간 인구이동의 연령대 구조에 따른 향후 지역별 인구변화를 파악하고, 연령대별 인구이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의되는 첫 번째 과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생활 통행 데이터를 활용하여 2019년 3월 18일부터 3월 24일까지 일주일간 경남지역 연령대별 방문인구의 이동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커뮤니티 분석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인근 지역과 커뮤니티의 구성이 주로 이뤄졌으며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남도 연령층별 방문인구의 이동권역은 시도 경계를 넘나드는 통행권이 형성되고 있지만, 30세 미만과 65세 이상은 통행 범위가 좁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30세~64세 방문인구는 통행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지역 기반을 중심으로 한 지역 계획 방향을 제시할 때 기초자료로 고려할 수 있다는 점과 경상남도의 연령대별 방문인구의 이동패턴을 조사하고, 새로운 계획실행공간 단위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Since the size of the local population is more affected by social changes caused by population movement than by natural increases or decrease, basic local governments ar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related to population movement. In addition, the first task to be discussed is to identify future population changes by region according to the age group structure of population movement between regions and to solve the problem of population movement by age group. In this study, community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movement patterns of the visiting population by age group in Gyeongnam for a week from March 18 to March 24, 2019, using mobile life passage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mposition of neighboring regions and communities was mainly made, and there were differences by age group. The travel area of the visiting population by age group in Gyeongsangnam-do has a right of passage across the city and provincial boundaries, but the range of passage for those under the age of 30 and 65 or older is narrow, and the range of passage for those aged 30 to 64 was wide. Therefor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considered basic data whe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regional planning centered on the regional base in the future, and that the movement pattern of the visiting population by age group in Gyeongsangnam-do was investigated, and a new plan execution space unit was derived.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차별성

Ⅲ. 분석의 틀

Ⅳ. 연령층별 방문인구 이동패턴 분석

Ⅴ. 연령층별 커뮤니티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