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고령자 서비스 결합주택 소요와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Need and its Determinants of Service Combined Housing for Old Age

  • 15
住居環境 제20권 제3호 (통권 제57호).jpg

고령가구들은 그들의 건강이 허락하는 한 가급적 오랫동안 거주해오던 지역에서 주하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는 고령가구의 지역거주의 관점에서 치료적인 환경하에서 주거와 관련서비스를 공급하는 고령자 서비스결합주택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서비스 결합주택의 소요를 추정하는 것과 돌봄을 받고 있는 고령자들의 돌봄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2020년 노인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추정한 결과 고령사 서비스 결합주택의 소요는 전체 노인가구의 최소 1.9%에서 8%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들의 돌봄만족도에 대한 순서형로짓분석결과 배우자유무, 고령가구의 소득과 거주지역 및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고령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환경을 고려하여 고령자 서비스결합주택의 공급과 관련된 기초자료 제공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Households of old age want to live in their communities as long as their health conditions permit. This study focus on service combined housing that provide welfare related services with old age under the therapeutic environment. There are two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we measure the need for service combined housing for old age. Second, various factors determining needs of service combined housing will be found out through ordered logit analysis. In order to succeed this objectives, we collect survey data in year 2020 for old age. According to prior study, household with welfare needs can be selected in terms of situation of household formation, income level and degree of health status. Among old age populations, 2 percent of them are minimum level that need serviced housing and 8% are may be predicted for maximum level. Ordered logit model can describe that factors affect housing needs indirect fashion. The more household satisfy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of life and location of residents, the more satify their aged care services. Besides these factors, household income, visiting frequency with their offsprings and condition of their spouse were also represented to determine their satisfaction of aged care services. This study suggest that providing service combined housing are uregent task considering old ageing trend in our society and more detailed researches should be further continued.

Ⅰ. 서 론

Ⅱ. 서비스 결합주택의 개념과 선행연구

Ⅲ. 분석모형

Ⅳ. 실증 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