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住居環境 제20권 제3호 (통권 제57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아파트 가격 상승 요인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거래되는 아파트의 가격 상승 요인을 헤도닉 가격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대상 아파트는 486개, 면적 기준 526개 유형으로 2019년에는 2,026건, 2021년에는 2,907건의 거래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전용면적 기준으로 대형·중형·소형 순으로 가격 상승률이 높다. 잔여 건폐율이 크고 경과연수가 길수록 재건축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 가격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수가 많을수록, 위탁관리방식 아파트의 가격 상승률이 자치관리 아파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시 동 지역과 비교해 서귀포시 동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가장 낮고, 서귀포시 읍·면 지역이 그 뒤를 이었다. 시장에서 멀어질수록 가격 상승률이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price rise in apartments trad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rom 2019 to 2021 using the Hedonic price model. There are 486 apartments subject to analysis and 526 types based on area. In 2019, 2026 transaction cases were applicable, and in 2021, 2907 transactions were applicable. In summary, the high price increase rate is based on the size of the exclusively used area, whether large, medium or small. The larger the remaining building-to-land ratios and the longer the elapsed years, the better the return on reconstruction can be expected, indicating that the high price rise rate. The higher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higher price rise rate. In addition, the price rising rate of entrust management apartments is higher than that of the autonomous management apartments. Compared to the Dong area of Jeju-si, the price increase rate of apartments in the Dong area of Seogwipo-si is the lowest, followed by Eup·Myeon area of Seogwipo-si. It was analyzed that the farther away from the market, the lower the price rise rate.

Ⅰ. 서 론

Ⅱ. 제주자치도 아파트 매매 동향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