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가치관 유형과 재무인식 및 투자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lue Types, Financial Perceptions and Investment Behavior Intentions

  • 52
住居環境 제20권 제3호 (통권 제57호).jpg

오늘날과 같이 1인 가구 증가, 초고령 사회에 따른 노령인구 증가 등 다양한 특정 계층이 창출되고 있고, 이들이 추구하는 생활방식이나 가치관은 서로 상이하며 이에 따라 재무에 대한 계획 및 설계가 다름에 따른 상이한 투자행동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치관 유형이 투자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재무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 목적을 위해, 412개의 유효한 샘플 대상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가설 1인인 가치관 유형은 재무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고, 가설 2인 가치관 유형이 투자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것이다도 채택되었으며, 가설 3인 재무인식은 투자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역시 채택되었다. 또한, 가설 4인 가치관 유형이 투자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재무인식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역시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금융, 부동산 등 재무기업들은 차후 마케팅전략에 있어 고객의 가치관 성향도 살피고 이에 더하여 추가적, 선택적으로 정보제공 등으로 건전하고 합리적인 재무의식을 확보하도록 권유한다면 투자자의 투자행동의도 극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곧 개인의 경제역량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s of today, various specific classes are being created, due to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increase in elderly population for the super-aged society. For this, their lifestyle, value types can be not the same and their monetary plan and strategy can be various as well, leading to various investment behavior. So,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value type on investment behavio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inancial percep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hypotheses established in this study were tested on 412 valid samp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ue type would have a positive (+) effect on financial perception as a Hypothesis 1, and the value types would have a positive (+) effect on investment behavior intention as a Hypothesis 2.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ancial perception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investment behavior intention as a hypothesis 3. Finally,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financial perception as a Hypothesis 4, the significance was finally confirmed. These research results can contribute to maximizing investors' investment behavior if financial companies such as finance and real estate examine customers' propensity to value in future marketing strategies and encourage them to secure sound and reasonable financial consciousness by providing additional and optionally information. It is believed that this will soo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economic capabilitie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모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