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질적탐구 제8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홈프로젝트 학습모형을 적용한 여가활용 수업에서 얻게 된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실천적 지식

A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Leisure Activity classes by Applying Home Project Learning Model in Middle School Special Class

DOI : 10.30940/JQI.2022.8.3.335
  • 122

이 연구의 목적은 홈프로젝트 학습모형을 적용한 여가활용 수업에서 얻게 된 중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6명의 특수학급학생과 학부모가 참여하는실행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학교에서 수업한 여가활용 내용을 가정에서 실행하는 것을 하나의 회기로 삼아 총 5회기의 수업과 수업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에게 여전히 어려운 영화보기 활동’, ‘함께 협력하는 학교와 가족’, ‘학교에서 준비하는 여가활동’, ‘자신의 선택에 따라 성장하는 학생들’, ‘더불어 변화하는 가족’의 5개의 상위범주와 11개의하위범주, 26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가정연계 여가활용 수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홈프로젝트 학습모형을 적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둘째, 가정연계를 위한 안내는 구체적이어야 하고 가족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학교에서의 사전교육은 여가활동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하고, 넷째, 가정연계 여가활용 수업을 통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기술, 사회적기술, 사회성능력, 참여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할수 있었고, 다섯째, 코로나-19 감염병과 같은 재난 상황 속에서도 학생의 여가활동은 지속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홈프로젝트 학습모형을 활용하여 학생의 여가활동을 위한 체계적인 가정연계의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knowledge of middle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obtained in the leisure activity classes applying the home project class model. For this purpose, a action research method in which 6 students from special classe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 was applied. One session was to implement the contents of leisure activity learned at school at home. A total of 5 sessions of classes and class council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There are five top categories, which are ‘movie-watching activities that are still difficult for students’, ‘schools and families working together’, ‘leisure activities prepared at school’, and ‘students who grow according to their own choices’ , ‘family changing together’. And 11 subcategories, and 26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irs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ffect of applying the home project learning model in conducting the home-connected leisure class. Second, the guidance for home-connection needs to be specific and it needs to target all family members, and third, the school Pre-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be applicable in the field of leisure activitie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elf-determination skills, social skills, social skills, and participa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ositively changed through home-connected leisure classes. Fifth, it was found that students’ leisure activities should be continued even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COVID-19 infectious diseas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suggests a systematic home connection plan for students’ leisure activities using the home project learning model.

Ⅰ. 들어가며

Ⅱ. 연구 설계 및 절차

Ⅲ. 홈프로젝트 학습모형을 적용한 여가활용 수업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실천적 지식

Ⅳ. 나가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