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질적탐구 제8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아버지의 외도를 경험한 성인자녀의 성찰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An Autoethnography on Reflection Experience of Adult Children who Experienced Father’s Infidelity

이 글은 아버지의 외도를 경험한 자녀가 무엇을 경험하는지 밝히고 다문화 사회정의 측면에서아버지의 외도를 이해하고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문제는 ‘아버지의 외도를 통해 나는 무엇을 경험하였는가?’로 설정하고 아버지의 외도가 연구자의 삶의 궤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살아내 가는지를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탐구하기 위해 자서전적, 성찰적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 범주는 〈25년 만에 아버지와 마주함〉, 두 번째 범주는 〈과거에 묶여 있는 정체된 삶〉이고, 하위 범주는 〈부모를 한 개인으로 바라보기〉, 〈거대 남성 담론〉, 〈야수 자본주의〉, 세 번째 범주는 〈무덤 속에서 아버지의 사랑을 파냄〉, 네 번째 범주는 〈나를 찾아가는 여행〉으로 하위범주는 〈내가 만든 동굴에서 나옴〉, 〈어머니를 통해 나를 찾아감〉, 〈부모님이 느끼는 나의 변화〉로 도출되었다. 이러한연구결과를 통해 외도를 부정적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는 사회문화적인 맥락과 각 개인의 위치성을 분석하여 외도를 통합적인 시선으로 이해하고, 다문화 및 사회정의와 같은 상담이론을 통해 외도에 대한 사회 문화적인 편견과 차별, 억압 등에 대한 인식을 재고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what background children have who experienced father’s infidelity and examine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father’s infidelity in terms of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to What did I experience through my father’s infidelity? and was conducted by applying a reflective autoethnography research method to explore how the father’s infidelity was affected by the researcher’s life trajectory and how the researcher lives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first category is 〈facing my father in 25 years〉, the second category is 〈stagnant life tied up in the past〉, the subcategory is 〈looking at parents as an individual〉, 〈bid male discourage〉, 〈beast capitalism〉, the third category is 〈digging out father’s love in a grave〉, the fourth category is 〈traveling to find me〉 and the subcategory is 〈coming out of the cave I made〉, 〈finding me through my mother〉, 〈my changes my parents feel〉.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fidelity as an integrated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which infidelity is inevitably viewed negatively, the understanding of each individual’s positionality and positionality surrounded by the social justice aspects. In addition, counseling theories such as multiculturalism and social justice conducted a reflective analysis to expand awareness of cultural prejudice, social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in the study of autoethnograph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