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변혁(DT) 시대 서울 소재 중소기업 최고경영진의 산업별 ICT 기술 교육 요구도 분석
The Training Need Assessment of ICT Technology by Industry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Focused on SME Executive’s Awareness in Seoul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인적자원관리연구
- 제29권 제3호
- : KCI등재
- 2022.09
- 51 - 69 (19 pages)
제 4차 산업혁명으로 기업은 내, 외부적인 변화를 마주하고 있다. 변화에 대응하고 생존을 넘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업은 ICT 기술을 도입하고 업무 효율화를 추구하며 구성원의 역량 강화 등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물적, 인적 자원을 구입하고 조달하는 데 한계가 있는 중소기업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중소기업 임직원의 ICT 기술 역량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 시대, 중소기업 임직원의 ICT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의 효과성 증진을 목표로 서울 소재 중소기업의 최고경영진이 인식하는 ICT 기술에 대한 산업별 교육 요구도를 조사 및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서울산업진흥원에서 진행한 ‘서울기업 디지털 리더십 과정’ 교육 수료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t 검정, Borich 계수,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업별 최우선 순위군에 속한 ICT 기술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별 결과를 종합하면 대다수의 업종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인은 인공지능, 가상증강현실로 나타났으며 빅데이터는 특정 업종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별 ICT 기술 교육에 대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nies are facing numerous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Respond to these changes, company should adopt digital transformation by applying ICT technologies for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However, SMEs that have limitations in purchasing and procuring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responding to these changes.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this, the need to strengthen the ICT technology capabilities of SME’s members is propos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o strengthen ICT technology capabilities of S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o the training need assessment of ICT technology by industry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For conducting the study, First, collect data from people who have completed ‘Digital Leadership courses for Seoul SME’ by Seoul Business Agency. Second, Based on collected data, conduct t-test, Borich’s educational need equation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s that ICT technologies belonging to the top priority group were different for each industry. In add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rtual reinforcement Reality was found to b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most industries. Also, Big data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a specific industry.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for SME’s ICT technology capabilitie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문제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V.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