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북조시대의 전반, 즉 유송(劉宋), 남제(南齊), 량(梁) 그리고 북위(北魏)에서 하리발마(訶梨跋摩, 4세기) 찬・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3?) 역 『성실론(成實論)』의 연구가 성행했다는 것은 중국 아비달마 사상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이 시기 중국불교도들이 『성실론』과 비슷한 시기 중국에 전해진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의 논서(“비담[毘曇]”)들이 아닌 경량부(經量部) 계통에 속한 것으로 여겨지는 『성실론』의 연구에 심력을 기울였던 이유에 대해, 선행 연구에서는 복수의 요인을 지적하고 있다. 다만 당시 문헌이 대부분 산실되었다는 자료적 제약으로 인해 이 시기 『성실론』 연구의 실태는 아직 해명되지 않은 부분이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세기 초엽 돈황과 투르판에서 발견된 문헌 중 존재하는 여덟 점의 『성실론』 주석서 잔권(殘卷)은 주목할 만하다. 이 잔권들은 모두 중국 남북조시대에 찬술된 것으로, 당시 『성실론』연구의 실상을 이야기해 주는 귀중한 실록자료들이다. 본고에서는 이 여덟 점의 잔권 중에서 아직 연구가 없는 스타인(Stein) 2463 『성실론장(成實論章)』(가제, 『성실론』에 대한 장[章] 형식 주석서)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먼저 「I. 해제(解題)」에서 본 문헌의 찬술지, 찬술연대와 주석형식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고찰의 내용을 정리하면, 본 문헌은 ① 북위에서 낙양(洛陽)이 수도였던 시기, 즉 494년부터 535년 사이에 찬술된 것이며, ② 단독저술이 아닌 스승과 제자 사이에 행해진 강의의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다음으로 「II. 원문교감(原文校勘)」에서는 스타인2463 『성실론장』 중 현존사본의 첫 장(章)에 해당하는 「사제(四諦)」(가제)의 원문을 교감해서 교정 텍스트를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III. 현대어역(現代語譯)」에서 그 교정 텍스트를 기반으로 「사제」 전문을 현대어로 번역하였다. 추가적인 연구 및 본 문헌 후속부분의 교감과 현대어역은 후속고에서 다룰 예정이다.
The most significant text in the Chinese study of Abhidharma might be Harivarman’s (4 C.E.) *Satyasiddhiśāstra, translated by Kumārajīva (344?-413?), which flourished in the first half of the Nanbei era, encompassing the Liu Song (劉宋), Southern Qi (南齊), Liang (梁), and Northern Wei (北魏) dynasties. However, its overall characteristics are hard to grasp since most of the texts written in this era have been lost, except for the eight individual fragments found in Dunhunag and Turfan. Among these eight, in this paper, I examine the Stein 2463, Chengshi lun zhang (成實論章, the Zhang[章]-style Commentary on the *Satyasiddhiśāstra, provisional title). In the first section, I discuss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chronology, regional provenance, and the background of the text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of this research.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ragment was composed in the Northern Wei dynasty between 494 and 535 C.E., where Luoyang (洛陽) was defined as the capital. 2. The fragment can be regarded as a record of the lectures that the master monk gave his disciples. In the second section, I provide the critical text of the first chapter of the fragment, “The Four Truths” (provisional title). Finally, in the third section, I provide the entire translation of this critical text of “The Four Truths.” Further research and the critical edition and translation of the rest of the text will be presented in a subsequent paper.
Ⅰ. 解題
Ⅱ. 原文校勘
Ⅲ. 現代語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