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상정보연구 제26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고의류 무역 연결망 분석과 시사점

Analysis of used clothing trade network and its implications: Focusing on HS Code of Heading 6309

DOI : 10.15798/kaici.2022.24.3.43
  • 105

본 연구는 중고의류의 국제 거래를 대상으로 무역 연결망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관점에서 무역의 흐름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고의류 재활용 무역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2018년 기준 중고의류 수출 상위 30개국의 2011년, 2015년, 2019년의 수출입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행되었다. 중고의류의 국가 간 거래 데이터를 얻기 위해 HS Code 6309를 사용하였으며, UN Comtrade Database를 통해 자료를 획득하였다. 분석 결과, 중고의류 글로벌 무역 연결망은 미국, 영국, 독일, 파키스탄, 가나, 터키(튀르키예), 토고, 베냉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2015년에는 한국이 2019년에는 중국이 수출국으로서의 영향력이 높아졌으나 네덜란드는 2015년 이후 주변국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UAE는 2015년 이후 핵심 국가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1년에 비해 2015년 중고의류 재활용 네트워크는 밀도와 평균경로길이, 규모가 모두 확대된 반면에 2019년은 2015년에 비해 다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무역 연결망 분석을 적용하여 중고의류의 글로벌 무역 구조의 현황과 변화를 분석하고, 중고의류 수출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 수립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global trade of used clothing from a network perspective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used clothing trade. Trade data for 2011, 2015, and 2019 of the top 30 countries is from the UN Comtrade database. HS Code 6309 is used to obtain cross-border trade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used clothing trade network is centered in the US, UK, Germany, Pakistan, Ghana, Turkey, Togo, and Benin. In 2015, Korea’s influence as an exporting country increased; in 2019, China’s influence as an exporting country increased. The Netherlands has been moving to the periphery since 2015. The UAE has grown into a core country since 2015. In addition, compared to 2011, the used clothing trade network expanded in density, average path length, and scale in 2015, while in 2019 it contracted slightly compared to 2015.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in the global trade structure of used clothing by applying trade network analysis,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for overseas expansion of used clothing exporting compan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Ⅲ. 연구 모형

Ⅳ. 분석 결과

Ⅴ.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