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스카프와 마주친 만 3, 4세 혼합연령 학급 유아들이 생성해간 놀이를 관찰했던 데이터의 생동성에 주목하면서 철학 이론과 함께/통하여 회절하여 분석한 연구자들의 이야기이다. 연구자들은 교실이라는 시공간 속에서 관찰자와의 만남, 스카프라는 물질의 행위주체성, 유아들의 기억과 욕망, 사회문화적으로구성된 의미들이 함께 얽혀 다른 시공간들, 물질-담론적 놀이들이 생기고 사라지고 접속하고 끊어지고 펼쳐지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Foucault, Deleuze, Barad 등의 이론을 에돌아가며 데이터를 새롭게 배치하면서 내부작용하는 회절적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관찰 데이터의 생명력은 연구자들과 얽혀, 다원적인 이론과 실제, 연구자들의 과거-현재-미래, 유아교실과 대학원 강의실, 인간과 인간 이상의 것사이-내부를 회절하며 지속적으로 경계를 짓고 허물고 새롭게 접속하며 공간시간물질의미화를 이어갔다. 우리는 이론-데이터-함께-사유하기가 놀이 관찰 데이터에 숨어있던 공간, 시간, 물질, 의미의 얽힘을 조명해줄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라 제안한다.
This paper is about two researchers’ journey of enlivening the vitality of data from observation of young children’s play with scarves in a mixed-age classroom of 3- and 4-year-olds, by diffractively analyzing data with/through philosophical theories. Researchers endeavored to understand how the encounter with the observer, material agency of a scarf, memories and desires of young children, and discovered that socioculturally constructed meanings were all entangled to generate, disperse, connect, disconnect, and enfold heterogeneous spacetimes and material-discursive plays. Diffractive methodology was adopted to reassemble data while diffracting and intra-acting with theories of Foucault, Deleuze, and Barad. The vitality of play observation data was also entangled with the researchers toward spacetimemattering of data diffracted in-between multiple theories and practices, researchers’ past-present-future,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and a graduate school classroom, human and non-human, along with our iteratively drawing/blurring their boundaries, and making new connections. We suggest the thinking-with-theory-data would open doors to illuminating the entanglements of space, time, materials, and meanings embedded in the play observation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