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상정보연구 제26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무역교육을 위한 학회의 역할 제고 방안

A Study on to Enhance the Role of the Society for Trade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과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접목한 무역은 전통적 무역에서 디지털무역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더욱 촉진시켜 교역 상품과 교역 방식 등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무역환경의 변화 속에서 정체된 우리나라의 무역규모를 빠른 시간 내에 2조 달러 달성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무역으로의 전환, 수출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서비스무역 확대 등 국내 무역환경 전반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세계 무역환경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무역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점에서 국내외 무역환경의 변화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확산에 대응할 수 있는 무역인력 양성을 위한 무역실무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금의 무역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무역인력과 필요역량에 대해 재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무역실무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데 있어 무역 관련 학회들의 역할 제고의 필요성과 함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rade combined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AI, big data, and blockchain is undergoing a transition from traditional trade to digital trade. In particular, COVID-19 has further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resulting in many changes in trade products and trade methods. It is not easy to achieve 2 trillion dollars in Korea's trade scale, which has been stagnant in the midst of such changes in the trad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urture trade manpower who can preemp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domestic and global trade environment, such as the transition to digital trade and the expansion of service trade for high added value of exports.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nurture trade manpower who can recognize not only trade practices based on trade knowledge, but also ideas and innovative technologies suitable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reate overseas markets through network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new paradigm of trade practice education for nurturing trade manpower who can respond to change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trade environment and the sprea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t the present time. To this end, we intend to redefine the trade manpower and necessary competencie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current trade environment. In addition, based on this, concrete measures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necessity of enhancing the role of trade-related societies in seeking a new paradigm for trade practice education.

Ⅰ. 서론

Ⅱ. 무역환경 및 무역인력의 필요역량 변화

Ⅲ. 무역인력 양성 현황 및 수급 전망

Ⅳ. 무역실무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