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상품무역에서 중간재와 소비재에 미치는 물리적 거리의 영향과 시간에 따른 변화를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간재의 물리적 거리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중간재를 해외조달하는 경우 장거리 국가보다는 근거리 국가를 더욱 선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간재 무역에서는 거리에 비례하여 발생할 수 있는 거래비용 외에 재고관리비용,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사슬간의 조율비용 등이 물리적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이다. 세계화는 상품을 비롯한 자본, 인력의 국가 간 이동 증가를 의미하고, 이는 물리적 거리가 거래장벽으로의 영향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라고 예상한다. 그러나 분석결과 2000년 이후 상품의 국가 간 이동에서 물리적 거리의 영향은 감소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가 간 무역에서 근거리의 무역이 장거리의 무역보다 더 빠르게 증가 및 확대하였음을 의미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장거리 국가와도 정보교류가 원활해 졌지만, 아직도 여전히 근거리 국가 간에 정보와 지식, 다양한 뉴스들이 더 빈번하게 교류되기 때문에 근거리 국가와의 정보 비대칭이 더 작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analyze (1) whether the distance coefficients of intermediate goods in the gravity model are larger than household consumption goods, and (2) whether the distance coefficients decreases from 2000 to 2020 when the globalization expanded. As the results the distance coefficient of intermediate goods was larger than household consumption goods, which means that when sourcing the intermediate goods from abroad, firms prefer short-distance countries to long-distance countries. This is because inventory management costs and synchronization costs between production processes in the global value chain increase with distance in intermediate goods trad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trade barrier has strengthened at a time when globalization has expands. This means that, in spite of expansion of globalization, trade with closer countries is growing faster than trade with long distance-countries.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has facilitated information exchange with long distance-countries but information, knowledge, and news are still exchanged more frequently between short-distance countries. Therefore, information asymmetry with short-distance countries is reduced more than in long-distance countries.
Ⅰ. 서론
Ⅱ. 중력모형에서 거리 영향에 대한 이론적 배경
Ⅲ. 세계화(Globalization)의 현황
Ⅳ. 분석 모형 및 결과
Ⅴ. 정책적 제안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