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시도하는 맞춤형 연합체의 구축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경쟁적 공존으로 개념화되는 미중 경쟁의 양상을 분석한다. 세력 격차의 축소와 경제적 상호의존의 유지로 특징지어지는 현재의 미중 경쟁은 역내 국가들의 헤징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경쟁 중인 미국은 역내 국가들에 대한 관여 확대, 그리고 이에 기반한 제도적 균형을 통해 중층적 지역 아키텍쳐를 구축함으로써 자국에게 우호적인 세력균형 형성과 지역 질서의 주도권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러나 역내 국가들의 다양한 이익과 위협인식의 분포는 블록화 혹은 신냉전으로의 분화를 어렵게 하며, 이에 따라 비공식성, 유연성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연합체가 등장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맞춤형 연합체는 이익과 가치, 위협 등 다양한 목표에 부응하기 위해 형성되고 있기에 미국의 대중 균형의 목적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을 지의 여부는 미지수로 남아있다. 쿼드(Quad)의 사례에서와 같이 대중국 연합체라는 목표에는 합의했으나 그 외의 목표에 대해 합의하기는 어려운 상황도 등장하는바, 맞춤형 협의체의 확장적 역할과 균형 효과는 향후 발전 과정에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nature of US-China competition which is conceptualized as competitive coexistence in its attempt to examine the condition under which the US-led bespoke and ad hoc coalitions are established. The current US-China competi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balance of power and deepening interdependence, is allowing hedging behavior among regional countries. The US, which seek to form a favorable balance of power vis-a-vis China, attempts institutional balancing, building a multi-layered regional architecture with its through engaging regional countries. However, the distribution of varying interests and threat perceptions among regional countries makes the US difficult blocize the coherent supporting coalition as in the Cold War. Instead, it leads to the emergence of a bespoke and ad hoc coalition with its informality and institutional flexibility. Meanwhile, given these coalitions are being formed to meet specific goals such as interests, values, and threats, it remains unclear whether they can be properly utilized for the purpose of balancing China at a critical moment. As in the case of the Quad, it might be difficult to expand the mission beyond the originally agreed upon goal. Hence, the expanded role of balancing among these coalitions need to be observed in the future.
I. 서론
II. 미국의 대중국 정책 변화와 미중 경쟁의 작동방식
III. 제도적 균형과 맞춤형 연합체의 형성
I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