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동방학지 제200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일전쟁시기 상하이 흥아건국운동의 주장과 문학(1939~1941)

The Argument and Literature of the Movement for Asiatic Regeneration and National Reconstruction in Shanghai under Japanese Occupation (1939~1941) - Re-reading of Chinese Occupied Literature from an East Asian Perspective

DOI : 10.17788/dbhc.2022..200.004
  • 34

본고는 허자오톈의 동아시아적 시각 하에 상하이 점령지 문학을 다시 읽는 작업으로, 중국대륙학계의 문제의식과 난제를 이해하면서도 비판적으로 대안적인 점령지 문학사를 재구성하고자 시도하였다. 흥아건국운동본부(1939~1941)는 ‘친일’ 대중운동기관으로, 평화, 반공, 중일합작의 기치 아래 일군의 대중매체를 출간하였다. 하지만 중국현대문학사에서는 ‘문화한간’이라는 이유로 배척당해왔다. 본고는 이들 역시 점령지의 문화주체라고 보고, 그 주장과 문학에서 점령하 상하이 지식인의 문제의식과 내면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대표 위안수는 친일의 궁극적인 궁극적인 목표가 중화민족의 독립과 해방임을 천명하였다. 문화위원회 주석 장즈핑은 중일문화합작에서 일본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중국인이 중국의 현실과 수요에 맞추어 문화 사업을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흥건운동본부의 문학은 정부의 이데올로기를 선전하면서 동시에 비판하는 공간이었다. 기관지 『흥건』 게재 소설은 철저히 평화운동의 선전에 복무하여, 항전의 비극을 성토하고, 중국에 침입한 서구 제국주의를 비판하였다. 반면 장즈핑의 연애소설은 점령지 협력자의 내면 세계와 점령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드러냈다.

From the East Asian perspective by He Zhaotian, this paper re-read literature in Shanghai under Japanese occupation. This paper tried to produce an alternative history of literature which was written by collaborators, or Hanjian, during 1939~1941 in Shanghai; at the same time, it tried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which Chinese academia and society was facing. The movement for Asiatic regeneration and national reconstruction, or Xingya Jianguo, headquarter (1939~1941) has been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because it was regarded as a national betrayer. However, its arguments and literature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allow us to grasp the thought and feelings of the occupied Shanghai intellectuals. According to Yuan Shu, the ideology of the movement is centered on peace, anti-Communism, and Sino-Japan cooperation. He emphasizes the ultimate goal of the movement is to achieve independence and liberation of the Chinese people. Zhang Ziping criticized Japan-centeredism in the Sino-Japanese cultural collaborative works and argued that the Chinese should lead cultural projects in line with the very reality and demand of China.

1.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중국 점령지 문학 다시 읽기

2. 흥건운동의 주장

3. 흥건운동의 문학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