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조형디자인연구 제25집 3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운모계 함철풍화암 쇄설물(碎屑物)의 소지 첨가제 효과

Effect of Mica-rich Weathered Ferruginous Rock Clast as a Clay Body Filler

  • 88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 분원리에서 채굴한 운모계 함철풍화암(含鐵風化岩) 철을 함유하고 있고, 암석이 부식되어 균열이 1~10cm 정도로 굴착에는 약간의 화약을 사용해야 할 암질이다. 쇄설물(瑣屑物) 기존 암석이 기계적 풍화작용을 받아 부서진 암석이나 광물의 입자을 분청토에 첨가하여 소지 첨가제로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채굴한 암석의 풍화 상태를 물리·화학적으로 파악한 후 질감제로 첨가하여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조암광물의 소성 반응에 의한 소지의 물성 및 질감 효과를 살펴보고, 소지의 질감에 대한 광물학적인 분석법을 제안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전처리 후 성분분석(XRF)과 결정상 분석(XRD), 전자현미경(SEM) 촬영을 진행하였다. 시료의 첨가량과 입도 변화에 따른 물성과 질감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시료를 10mesh, 40mesh로 분쇄하여 분청토-알루미나-함철풍화암의 삼성분계 조성으로 혼합하였다. 실험 소지의 물리적 특성은 수축률, 흡수율, 기공률, 꺾임강도 측정을 통해 분석하였고, 발색 분석은 UV-Spectroscopy를 통해 측정하였다. 실험 소지는 시판 적토들과 비교하여 질감과 색상 면에서 독창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후 실험에서 나타난 암석-광물적 표면조직을 Digital Microscope를 통해 세부 분석하여 비정제질감에 대한 광물학적인 분석법을 시도하고 도식화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as a clay body filler by adding mica-rich weathered ferruginous rock clast mined in Bunwon-ri, Gwangju, Gyeonggi-do to Buncheong body. After analysis the weathering state of the mined rock physically and chemically, the clay body’s physical properties and textures by the heat treatment effect of the rock minerals were examined, and a mineralogical analysis method was proposed. The collected samples were pre-treated and then subjected to XRF, XRD, and SEM-ED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and texture according to the amount of sample added and the change in particle size, the samples were sieved to 10mesh and 40mesh and mixed with the three-component composition of Buncheongclay-alumina-weathered ferruginous rock.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est body were analyzed by measuring shrinkage, absorption, porosity, and bending strength, and color development analysis was measured through UV-Vis Spectroscopy. The test bodies were able to secure originality in texture and color compared to the commercial red clay. Subsequently, the rock-mineral like texture shown in the experiment was subdivided through Digital Microscope to try and schematize a mineralogical analysis of unrefinement texture.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