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jpg
학술저널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창조와 진화에 대한 관점연구

A Study on Viewpoin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bout the Creation and Evolution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생명과 종의 기원에 대한 내용이 진화론에 기초하여 다루어지고 있다. 현재 생명의 기원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는 가운데, 학생들의 진화에 관련된 이론 수용에 많은 영향을 주는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생명의 기원에 대한 관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중학교 과학3의 진화단원의 내용을 중심으로 검사 도구를 만들었으며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시지역의 중학교 과학교사들을 상대로 질문지를 발송하여 회수된 115개의 질문지를 분석하였다.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진화에 관련된 각 지식주장들에 대한 관점의 빈도와 평균값을 조사해본 결과 대체적으로 진화론적 관점과 반진화론적 관점 중 어느 한 쪽으로 쏠리지 않고 중간 값을 나타내었다. 지질시대와 화석 영역에서 가장 진화론적인 관점을 보여주었고, 시조새, 척추동물의 배 발생 과정,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에 대해서는 대체로 진화론적인 관점을 보였다. 한편, 인류의 진화에 대해서는 대체로 반진화론적인 관점을 나타내었다.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기원에 대한 관점은 종교별로 차이를 보였으나, 교사들이 진화단원을 가르칠 때 66%의 교사들이 교과서의 내용을 기초로 하되 진화의 한계와 그 대안인 창조론에 대해 소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2%의 과학교사들이 현재의 진화에 대한 교육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였으며, 47%의 과학교사들이 기원에 관한 수업을 준비할 때 창조론을 지도할 수 있는 교육 자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iewpoints of junior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on origins and teaching the topics. A questionnaire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contained 32 questions about origins and 12 questions asking about teaching the topic. On those questions, teachers were asked to respond with 5 Likert-type responses. Questionnaires of a total of 115 teachers were analyzed. The total mean of 32 questions was 2.95, with the range of 2.5~3.4. The most evolutionary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questions about fossils and geological ages, and the relatively high evolutionary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questions about archaeopteryx fossil, homology, the mammal embryo development, mutation and natural selection. Whereas, teachers showed anti-evolutionary point of view on origin of human being. About 50 percent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introduced alternative theory of origin and limit of evolutionary theory at the same time they taught the topic based o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anted material develop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the origin of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alternative theory of origin may help teachers get better prepared to real classrooms consisting of students who had various point of views on the origi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