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브릿징 평가 현장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실천지식 변화

The Accumulated Practice Knowledge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by The Application of Bridging Assessment

  • 13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9호.jpg

목적 본 연구는 활동중심 평가의 하나인 브릿징 평가를 우리나라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해 보고, 유아교사의 실천지식을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유아평가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연구참여자는 D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1인, 공립유치원 교사 2인과 각 학급으로부터 6명씩 총 18명의 만4, 5세 유아들이다. 연구자료는 총 63회의 참여관찰과 평가 후 면담, 12회의 심층면담, 전화통화 및 이메일 교신, 그리고 유아평가 기록지, 교사저널, 연구일지 등을 통해 수집되었다. 질적 연구자료는 전사 작업 후 QSR NVivo 1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브릿징 평가의 적용과정에 참여한 교사의 실천지식은 크게, ‘부담스럽고 미루게 되는 평가에서 벗어나기’ ‘유아에게 의미 있는 평가 실천하기’ ‘유아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해 루브릭 연속선상에서 지원하기’ ‘유아평가에 있어서 또 다시 시작되는 현실적인 고민’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나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인중심 평가나 결과중심 평가에서 벗어날 필요성을 제안한다. 아울러 의미 있는 평가 실제를 통해 유아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브릿징 평가와 같은 대안적 평가를 통해 교수⋅학습과 평가를 연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as to apply Bridging Assessment, an activity-based assessmen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in South Korea and to explore its possibility as a child assessment tool.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one teacher at a daycare center for employees and two national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a total of 18 children aged 4 to 5. Collected data consisted of 63 participatory observations, consultations after each evaluation activity, 12 in-depth interviews, phone conversations, e-mail correspondences, child assessment record sheets, teacher journals, and daily research logs. Qualitative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the QSR NVivo 10.0 program. Results The application results of Bridging Assessment by curricular area were as follows: the accumulated practice knowledge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was categorized into four topics: ‘breaking from burdensome assessment to avoid,’ ‘implementing meaningful assessment practices,’ ‘having deeper understandings of children and supporting their learning and development,’ and ‘still agonizing over practical concern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ll for the need to overcome individual-oriented and result-oriented assessment practices. It is also suggested that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better understand children through meaningful assessment practices and to bridge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through an alternative assessment tools such as Bridging Assessment in the field of childhood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