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점진적 통일과정에서의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한 경제통합 방안

  • 34

남북한 분단 이후 남북한 경제적 격차가 매우 큰 상황에서 남북한 경제체제를 통합하는 것은 경제 분야는 물론 정치, 사회, 문화 분야에서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고 그 과정에서 극심한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남북한 경제통합의 추진 방향 및 구체적인 방안을 보다 세부 분야별로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경제통합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경제통합의 주요 부문인 무역 및 투자, 화폐통합, 인적자원 활용 등 부문별 통합제도 연구와 동북아 분업구조 및 경제협력에 대한 영향을 바탕으로 점진적인 통일 과정에서의 남북한 경제통합 추진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제2장에서 남북한 경제통합 없이 정치적 무역장벽이 존재하는 현재 상황은 파레토 비효율적임을 증명하고 남북한 합의에 의해 제도적 경제통합을 달성할 수 있다면 파레토 효율적인 상황으로 옮겨갈 수 있음을 이론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독일의 재통일, 중국-홍콩, 중국-대만, 베트남, 예멘, EU 등의 다양한 경제통합 사례분석을 통해 통일 혹은 통합은 다양한 형태로 일어날 수 있다는 점과 통일 또는 통합의 형식을 어떻게 취하느냐에 따라 그 대응방식도 달라진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의 속도, 정경분리 방식, 법과 제도의 정비, 민간 부문의 참여, 점진적인 화폐통합, 정치적 의사결정의 메커니즘 구축 등 남북한 경제통합이 추진되어야 할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남북 경제통합의 전제인 정경분리 가정을 통한 남북한의 평화적 관계 유지는 남북한 무역과 투자의 유의한 증가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남북한 경제통합을 통한 무역과 투자의 확대 패턴은 남북한 경제 체제 및 산업 구조의 상이성, 또한 남북한 기업 사이 경쟁력 차이 등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해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차이를 고려하여 남북한 경제통합이 이루어질 경우 무역과 투자의 확대를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한 남한 입장에서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경제적인 거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정치적인 평화가 남북한 사이에 전제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가격체계 정착, 분쟁조정기구 마련, 경제특구 운영 등 남북한의 무역 및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이고 실제적인 틀이 마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Due to a huge economic gap that opened u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fter nearly seven decades of division in the Korean peninsula, it is expected that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ould naturally give rise to a number of issues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reas. Therefore, to analyze those issues and the path of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ith regard to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strategies for gradual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by analyzing the major issues in economic integration, such as trade and investment, currency integration, and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and assess their impact on the regional production networks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process in Northeast Asia. In Chapter 2, we theoretically prove that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here many political barriers to trade exist, is Pareto-inefficient; and that it can achieve a Pareto-efficient situation by attaining institutional economic integration enabled by mutual agree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case studies on Germany, China and Hong Kong, China and Taiwan, Vietnam, Yemen, and the European Union, we proposed basic directions that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needs to follow: gradual approach to economic integration, separ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and integration from military and security issues, construction of a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economic integration, role of the private sector, gradual integration of currencies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establishment of a mechanism of political ties and stable decision-making process.…

서언

국문요약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범위

Ⅱ. 경제통합의 이론적 고찰 및 사례 연구

1. 경제통합의 이론적 고찰 및 남북한 경제통합의 고려 요소

2. 경제통합의 사례

3. 남북한 경제통합에 대한 시사점 및 기본 추진방향

Ⅲ. 남북한 경제통합과 무역 및 투자 추진 전략

1. 국가간 분쟁 및 정치적 긴장 완화에 따른 무역 및 직접투자의 패턴 변화

2. 남북한 무역 및 투자의 비교 분석과 추진 전략

3. 소결

Ⅳ. 남북한 경제통합과 화폐시스템의 통합

1. EU의 화폐통합

2. 동·서독의 화폐통합

3. 남북한의 화폐통합 방안

4. 소결

Ⅴ. 남북한 경제통합과 북한 인적자원 활용 방안

1. 체제이행국의 인적자원 변화

2. 독일 통일의 교훈

3. 중국 및 베트남의 체제이행과 우리 기업의 경험

4. 북한 인적자원 활용 및 숙련도 제고 방안

5. 소결

Ⅵ. 남북한 경제통합과 동북아 분업구조

1. 남북한 교역구조의 비교 분석

2. 동북아 분업구조의 현황과 특징

3. 남북한 경제통합이 동북아 분업구조에 미치는 영향분석

4. 소결

Ⅶ. 남북한 경제통합과 동북아 경제협력

1. 생산네트워크와 지역무역협정

2. 남북한 경제통합과 동북아 경제통합의 파급효과

3. 소결

Ⅷ. 점진적 남북한 경제통합 추진방안

1. 남북한 포괄적 경제통합협정(CEIA or ONE Korea)

2. 남북한 경제통합 10개년 계획의 추진

참고문헌

부록. 남북한 경제력 비교 및 경제협력 현황

Executive Summar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