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AI시대 셀러브리티 문화 연구

Celebrity Cultural Studies in the Age of AI: Narrative, Self-concept and Nostalgia

  • 411
문화와 융합 제44권 9호.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고의 목적은 AI시대에 AI와 공존하는 셀러브리티 문화를 내러티브, 자아개념, 노스탤지어 세 가지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자 급격한 사회변화를 이끌고 있는 인공지능(AI)은 다양한 영역에 도입되어 인간과 공존하고 있다. 인간의 삶에서 빠질 수 없는 문화 영역에서도AI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화 활동의 하나인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도 AI의 가치는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AI시대의 대중문화와 셀러브리티는 물론 AI, 내러티브, 자아개념, 노스탤지어의관계를 분석하고, AI기술로 셀러브리티 문화가 어떻게 재현되고 어떤 문화적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며, 나아가 AI를 활용한 미래 셀러브리티 문화를 제언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AI를 활용한 세계관을보이는 케이팝 그룹 에스파와 다시 보고 싶은 셀러브리티를 AI 복원기술로 재구성한 대중문화 콘텐츠인 티빙 오리지널 음악 예능 프로그램 <얼라이브>를 분석한다.

This paper explores celebrity cultural studie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ocuses on narrative, self-concept and nostalgia.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pivotal concep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exists with human in a wide variety of field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 significant role in our culture, especially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This paper investigates relationships among popular culture, celebrity, artificial intelligence, narrative, self-concept and nostalgia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order to examine how the celebrity culture is represented and what the cultural meaning is in the popular cultural contexts. In order to analyze this research, the paper explores K-pop group Aespa and TVING original music entertainment program <Alive>.

1. 서론

2. 내러티브

3. 자아개념

4. 노스탤지어

5.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