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그간 연구자들에 의해 주목받아왔던 염상섭의 기자 활동이 소설 창작에 미친 영향에 대해 좀더 적극적인 접근과 해석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저널리즘과 보도의 논전 거리가 되어 온‘사실/객관’ 및 ‘허구/주관’에 대한 저널리스트로서 염상섭의 이해와 판단을 분석하고, 그것이 리얼리즘문학의 형성기인 1920년대 중반 작가의 창작 세계관과 작품에 미친 영향 관계를 따져보고자 한다. 즉특정 사건을 다룸에 있어 저널리즘이 요구하는 ‘객관’과 ‘주관’의 긴장 관계에 따른 염상섭의 고민은 고스란히 소설 창작으로 전이되어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객관’과 ‘주관’이 교차하고 기자로서의 직분과 작가로서의 정체성이 서로 개입하여 한편의 소설을 이루는 과정을탐색함으로써 기자 형상화 소설의 ‘진가(眞價)’를 확인하고 염상섭의 리얼리즘 문학의 근원에 접근해보고자 한다.
This paper intends to try a more active approach and interpretation of the impact of Yeom Sang-seop's journalist activities, which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by researchers, on the creation of novels. As a journalist on “fact/object” and “fictional/subjective”, which have historically been a debate between journalism and reporting, I would like to analyze Yeom Sang-seop's understanding and judgment,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artist's creative worldview and work in the mid-1920s, the formation of realism literature. In other word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that Yeom Sang-seop's worries due to the tension between “object” and “subject” required by journalism in dealing with specific cases have been transferred to fiction creation. By exploring the process in which “objective” and “subjective” intersect and the position as a reporter and identity as a writer intervene to form a novel, I would like to confirm the “true value” of the journalist-shaped novel and approach the source of Yeom Sang-seop's realism literature.
1. 들어가며
2. 기자 인물 형상화와 리얼리즘
3. 저널리스트의 이상과 직분 의식
4. 나오며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