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인의 문화에 대한 인식이 개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을 가진 연구로서 문화와 삶의 목적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5,100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자료를 구조방정식모델(SEM) 방식으로 통계적 분석하였다. 가설의 검증 결과, 한국인의 문화에 대한 인식을 구성하는 자긍심은 삶의 만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긍심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나, 문화에 대한 인식을 구성하는 정체성은 삶의 만족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정체성에 대한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Korean’s awareness of the culture influence on the individual’s life satisfaction and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 and purpose of life. To achieve the purpose,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on 5,100 nationwide citizens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data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ccording to the hypothesis testing results, the pride composing the cultural aware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citizens with higher pride showed higher life satisfaction. Meanwhile, the sense of identity composing the cultural awaren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citizens with higher sense of identity showed lower life satisfac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연구모형 작성
4. 가설의 검증
5.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