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코로나19가 국내에 확산된 시점(2010년-2019년과 2020년-2022년)을 구분하여 대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 동향에 따른 연구주제 등을 비교 분석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동향은 RISS 등에서 ‘대학생’, ‘집단상담’ 키워드로, 국내 학술지 논문 총 90편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가 발생이전은 대학생의 진로, 그리고 그 이후는 정서(우울, 불안 등)가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중심 주제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대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에서 대학생의 긍정적 정서를 신장할 수 있는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research topics according to research trends in college student group counseling programs by dividing the time when COVID-19 spread in Korea (2010-2019 and 2020-2022). As for the trend of this study, a total of 90 paper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under the keywords 'university student' and 'group counseling' in RIS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eer path of college students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emotions (depression, anxiety, etc.)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were the central topic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positive emotions of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