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jpg
학술저널

마을공동체에서 개신교회의 역할

The Role of the Protestant Church in the Village Community: Focusing on Village Ministry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개신교회의 위기 상황 속에서 21세기 목회의 대안으로 떠오른 마을목회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에서 개신교의 역할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며 아울러 마을목회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 마을목회의 출현배경을 설명하고, 3장에서 마을목회의 신학적인 근거를 제시한 후, 4장에서 마을목회의 세계적인 대표 사례들을 통해 마을목회를 하고 있는 개신교회들이 지역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5장에서 하나님나라의 관점에서 마을목회의 과제를 제시할 것이다. 2장에서 필자는 마을목회의 출현배경으로 ① 주류 기성교회들의 쇠락 ② 사회 양극화로 인한 공동체의 붕괴 ③ 생태, 기후위기를 설명하였고, 3장에서 “마을목회란 하나님의 나라 또는 하나님나라의 가치(자유, 평등, 생명, 정의, 사랑, 평화 등)를 마을(지역사회, 지구마을)에서 구현해가는 목회”라고 정의하면서 필자는 마을목회를 해야 하는 신학적 근거로 ① 신론적 근거 ② 기독론적 근거 ③ 교회론적 근거 ④ 선교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 마을목회의 세계적인 대표 사례들, 즉 ① 미국의 세이비어교회 ② 미국의 드림센터 ③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의 선진적 성령운동교회들 ④ 한국의 한남제일교회의 사례들을 통해 마을목회를 하고 있는 개신교회들이 지역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설명하였고, 이들 교회들의 사역의 공통점이 무엇인지를 규명했다. 5장에서는 하나님나라의 관점에서 마을목회의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① 하나님나라를 꿈꾸는 영성목회의 과제 ② 마을을 행복하게 만드는 행복목회의 과제 ③ 사회적 약자들을 온갖 억압과 착취와 불의에서 자유하게 하는 해방목회의 과제 ④ 정의롭고 평화로운 마을공동체 만들기의 과제 ⑤ 치유와 화해를 이루어가는 사랑목회의 과제 ⑥ 마을의 가난한 자들을 살리고 돌보는 복지목회의 과제 ⑦ 생태계를 살리는 생태목회의 과제 ⑧ 생명・평화의 문화를 꽃피우는 문화목회의 과제 마을목회는 개신교의 위기를 초래한 두 가지 원인, 즉 교회 본질의 상실과 목회패러다임 전환의 실패에 대한 좋은 처방이 되고 있다고 사료된다. 왜냐하면 마을목회는 교회 본질의 핵심 요소인 예수의 하나님나라 운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목회이며 동시에 그것은 새로운 시대 변화에 제대로 부응하는 목회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마을목회는 사회통합 기능, 사회적 목표의 고양, 사회변혁 기능과 같은 종교의 순기능을 하고 있다. 따라서 개신교의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는 과거의 교회중심적 목회에서 지역사회중심의 마을목회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루어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role of Protestantism is emerging in the local community, centering on village ministry, which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pastoral ministry in the 21st century amid the crisis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For this purpose, I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village ministry in chapter 2, and presenting the theological basis for village ministry in chapter 3. In chapter 4, I will examine the role of village ministry 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world. In chapter 5, the task of village ministry will b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ingdom of God. In chapter 2, I explain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village ministry: ① the decline of mainstream established churches ② the collapse of the community due to social polarization ③ ecological and climate crises. In chapter 3, defining “village ministry” as “a ministry that embodies the kingdom of God or the values of the kingdom of God, (freedom, equality, life, justice, love, peace, etc.)” I presented ① the basis of doctrine of God ② christological basis ③ ecclesiastical basis ④ missiological basis as the theological basis of village ministry. In chapter 4, through the representative cases of village ministry in the world, that is, ① Savior Church in America ② Dream Center in America ③ Advanced Spirit Movement Churches in Asia, Africa, and South America ④ Hannam Jeil Church in Korea, I explained the role of village ministry in the local community. And I have identified what the ministries of these churches have in common. In chapter 5, I presented the tasks of village minis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ingdom of God as follows: ① The task of spiritual ministry that dreams of realizing the kingdom of God ② The task of the Happy Ministry to make the village happy ③ The task of the Liberation Ministry to set the socially weak free from all kinds of oppression, exploitation and injustice ④ The task of creating a just and peaceful village community ⑤ The task of the ministry of love to achieve healing and reconciliation ⑥ The task of the welfare ministry to save and care for the poor in the village ⑦ The task of the ecological ministry to save the ecosystem ⑧ The task of the cultural ministry to blossom a culture of life and peace Village ministry is considered to be a good remedy for the two causes of the crisis of Protestantism, namely, the loss of the church's essence and the failure of the pastoral paradigm shift. This is because village ministry is a ministry that wants to participate in the movement for the kingdom of God of Jesus, a key element of the essence of the church,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ministry that properly responds to the changes of the new age. In addition, village ministry is performing the positive functions of religion, such as social integration, promotion of social goals, and social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Korean church, which is in crisis of Protestantism, will have to make a paradigm shift from the church-centered ministry of the past to a community-centered village ministry.

Ⅰ. 들어가는 말

Ⅱ. 마을목회의 출현배경

Ⅲ. 마을목회의 의미와 신학적 근거

Ⅳ. 마을목회의 세계적 사례

Ⅴ. 마을목회의 과제

Ⅵ.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