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연극연출가들의 사주(四柱)를 명리학(命理學)적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연출가의 직업적 특성과 명리학적 상관관계를 밝혀서 관련종사자 및 이직업을 희망하는 사람들의 진로 선택에 도움이 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오행(五行), 십성(十星), 십이운성(十二運星) 등의 주요 명리학적 요소들과 연극연출가의 직업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후, 현재 연극계에 뚜렷한 성과를 남긴 연출가 열 명을 선정하여 ‘사례분석(case analysis)’의방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행(五行)으로는 금(金)과 수(水)가 발달하였고 십성(十星)으로는재성(財星), 특히 편재(偏財)가 발달하였다. 신살(神殺)로는 지살(地殺)과 역마(驛馬) 가 발달하였고 연출가로 활동을 시작하거나 두각을 나타낼 무렵의 대운이 식상운(食傷運)이나 용신운(用神運)으로 흘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작업환경의 이동이 잦고, 가상의 세계와 물리적 공간을 동시에 다루는 연극연출가들의 직업적특성을 잘 드러내주는 결과라 하겠다.
The primary goal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career choice of related workers and those who wish to take the theater director’s job by analyzing directors' Saju based on the theory of Myeongli Science. As a research method, after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ater director’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main elements of Myeongli Science, such as Five-Elements(五行), Sipseong(十星) and Sipiunseong(十二 運星), ten directors who have produced clear results in the current theater field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cas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Geum (金) and Su (水) were developed for the Five-Elements (五行), and Jaeseong (財星), especially Pyeonjae (偏財), were developed in the Sipseong (十星). Jisal (地殺) and Yeokma (驛馬) were developed as Sinsal (神 殺), and the Daeun (大運) flowed into Siksangun (食傷運) or Yongsinun (用 神運) when they began their activities or stood out as directors. This is the result of revealing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ater directors active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ho manage both virtual world and physical space simultaneously.
1. 머리말
2. 연극연출가의 조건과 명리학적 상관관계
3. 사례분석
4. 연극연출가의 명리학적 특성 분석결과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