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와융합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근대 문학 작품 연구

A Study on Modern Literature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Focusing on pro-Japanese and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DOI : 10.55793/jkhc.2022.12.363
  • 196

이 연구는 한국어 문화 교육은 언어와 역사 문화에 대한 통합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특히 역사 문화와 관련한 학습은 역사의 흐름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전제로, 문학 작품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교수자가 제시하는 텍스트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단적인 특정 역사적사실에 대한 학습만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그 원인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문학 작품의 활용이 한국어 문화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살펴보았고, 1890년부터 1945년 사이에서 한국의 역사 문화적 특징이 드러나는 몇 개 문학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갑오개혁이 시작된1890년부터 한일 합병 이전까지의 문학 작품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친일의 성격을 분석해보았고, 한일 합병 이후부터 1945년까지의 작품들 중 고통스러운 현실이나 이와는 반대로 부유한 삶을 누리는 인물이 등장하는 작품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당시의 문학 작품을 통해 한일 합병이나 그로 인해 한국인들이 받던고통의 구체적인 원인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가 가능하며, 더 나아가 당시 고통받던 한국인의 현실적인 모습과 함께 친일을 통해 부유한 삶을 살아가는 인물의모습까지도 살펴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볼 수 있었다. 이처럼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문화 교육 현장에서 문학 작품을 통해 역사의 흐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의 발현을 위해서는 교수자의 다양한 지식 습득과 학습 설계 능력의 함양이 더욱 요구될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literary works on the premise that Korean culture education requires an integrated learning of language, history, and culture; especially that learning related to history and culture must be conducted through the historical course. In most education sites, only specific historical facts that can be examined through text are taught by the instructor. This study examined how the use of literary works influences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selectively analyzed several literary works between 1890 and 1945 that illustrat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d pro-Japanese nature found in literary works from 1890, when the Gabo Reform began, to before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literature featuring painful reality, or conversely, people enjoying an affluent life among the works from Japan’s annexation of Korea in 194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ected literary works helped objectively understand the specific causes of Japan’s annexation of Korea or the sufferings by Koreans. It examines the realistic sufferings of the Koreans at the time as well as the people living a prosperous life through pro-Japanese activities. As such, instructors will face more demand to acquire knowledge and develop learning design skills for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a historical understanding through literary work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한국어 문화 교육 현장에서의 문학 작품 활용과 의의

3. 친일 문학 작품의 배경과 특징

4. 일제강점기 시대의 문학 작품과 활용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