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1권 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소년의 반복피해와 반복가해의 중첩성에 관한 연구

The Overlap between Repeat Victimization and Repeat Offending: Focusing on Time Spent on the Computer and Antisocial Propensity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1) 반복피해, 반복가해, 반복중첩 경험군의 실태와 특성 분석, 2) 컴퓨터 사용 시간과 각 집단의 연계성 분석, 3) 반사회적 성향이 각 집단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1차, 2차 연도 자료를 근거로, 청소년을 ‘무경험집단’(n=618), ‘반복피해집단’(n=777), ‘반복가해집단’(n=522), ‘반복중첩집단’ (n=1,101명)으로 분류하였다. 반복피해와 반복가해의 중첩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그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두 가지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분석 결과, 컴퓨터 사용 시간은 무경험집단과 반복가해집단 및 반복중첩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이 청소년의 가해행위 유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반복중첩집단은 컴퓨터 사용 시간, 반사회적 성향과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서 다른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과거의 범죄피해경험이 반복피해집단과 반복중첩집단이 될 확률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과거의 범죄가해경험과 컴퓨터 사용 시간은 반복가해집단과 반복중첩집단이 될 확률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반사회적 성향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컴퓨터 사용 시간이 반사회적 성향이 높은 청소년들의 반복가해집단과 반복중첩집단에 속할 가능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반복피해와 반복가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1)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inexperienced, repeat victim, repeat offending, and repeat overlap groups, 2) explore the impact of computer use on each group, and 3) account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antisocial propensity on the impact of computer use on each group. Using the first two years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adolescents were classified as the ‘inexperienced' (n=618), ‘repeat-victimization' (n=777), 'repeat-offending’ (n=522), and ‘repeat-overlap group’ (n=1,101)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experienced group was similar to the repeat-victimization groups, and the repeat-offending group was similar to the repeat-overlap group in terms of time spent on the computer, indicating the connection between computer use and offending. The overlap group was much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erms of computer use, antisocial propensity, and the sources of stres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victimization experience was the predictor of repeat victimization, repeat offending, and repeat overlap. Past perpetrators of crime and time spent on the computer were predictors of repeat-offending and repeat-overlap. Also, the time spent on the computer has a greater effect on repeat-offending and repeat-overlap groups with a high antisocial propensity, revealing a moderating effect. Policy implications to prevent repeat victimization and repeat offending are sugges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