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청소년 인터넷 교육 경험과 사이버 폭력 가해 경험과의 관계

Associations between Cyber Ethics Eduction of Youth and Cyber Violence in South Korea

  • 24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1권 3호.jpg

이 연구는 청소년들을 위한 인터넷 이용 교육과 사이버 폭력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최근 정부는 다양한 청소년 인터넷 이용 교육을 실시해 왔는데, 이러한 노력이 실질적으로 사이버 폭력 예방으로 연결되었는지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는 형사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2015년 청소년 사이버 폭력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인터넷 이용 교육과 청소년 사이버 폭력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차 자료를 활용한 연구로 이 데이터에는 총 5,358명의 청소년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자료를 독립표본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인터넷 이용 교육을 경험한 청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일반 청소년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사이버 폭력 가해 점수(평균)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소년 사이버 폭력 가해 요인에 해당하는 정신·심리적 요인, 사회·관계적 요인, 기술적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터넷 이용 교육 경험이 사이버 폭력 가해 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향후 인터넷 교육 내실화에 대한 재점검과 함께 불량 교우 및 또래 집단 간의 상호관계 등 교육 외적인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새로운 차원의 사이버 폭력 예방 활동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ethic education and cyber-violence for teenagers. Recently, the government has provided various youth cyber ethic education, and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verified whether these efforts have actually led to the prevention of cyber-violenc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ethic education and youth cyber-violence using data from 'Survey on Cyber Violence and Adolescents' collec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As a study using secondary data, this data includes a total of 5,358 youth data.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ata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who experienced cyber ethic education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average) of cyber-violence than general youth groups who did not. However,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controlling 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social and relational factors, technical factors, and demographic factors corresponding to youth cyber-violence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cyber ethic education experi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yber-violence. In conclusion, a new level of cyber violence prevention activities and education is needed that consider non-educational factors such as poor companions and interrelationships between peer groups, along with a re-examination of cyber ethic education in the futur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0)

(0)

로딩중